박선웅 고려대 심리학과 교수
MBTI가 상업적으로 거둔 엄청난 성공에 비해 놀랍게도, MBTI에 대한 학계의 반응은 매우 차갑다. MBTI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것조차 이제는 진부하다고 여기는 것 같다. 그럼에도 많은 사람들은 MBTI가 자신을 잘 드러낸다고 생각하는데, 이건 사실 신기할 것이 없다. MBTI는 수검자가 스스로 생각하는 자신의 특징에 대해 답변한 내용을 요약 및 정리해 알려주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구수를 16가지 유형으로 나눌 경우, 자신과 같은 유형의 사람이 우리나라에만 부산 사람만큼 많고, 전 세계적으로는 5억 명 가까이 된다는 점을 깨닫고 나면, 과연 그 많은 사람 모두가 자신과 같은 사람이고, 그 영문 네 글자가 ‘진짜 나’를 대변한다고 느끼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MBTI에 열광하는 것일까? 자신과 타인이 어떤 사람인지 알고 싶기 때문이다. MBTI를 통해 다뤄지는 정보 역시 분명 누군가에 대한 정보이기는 하다. 문제는 그것만으로는 누군가를 충분히 알 수 없다는 데 있다. 우리는 살면서 어떤 사람을 안다는 말을 종종 하곤 하는데, 그때 우리는 그 사람에 대해 도대체 무엇을 아는 걸까?
성격심리학자 댄 맥애덤스(Dan McAdams)는 누군가에 대한 지식을 크게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했다. 첫 번째 영역은 ‘친절하다’, ‘말이 많다’, ‘내향적이다’와 같이 우리가 흔히 성격이라 부르는 영역이다. 이런 성격적인 특성은 유전에 의해 대략 절반 정도 결정되기 때문에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 비슷하게 유지된다. MBTI가 측정하는 영역이 바로 여기에 해당한다.
두 번째 영역은 계속 변하는 사회적 상황에 개인이 적응하는 방식이다. 무엇을 추구하고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새로운 무언가를 얻기 위해 움직이는지 아니면 가지고 있는 것을 잃지 않기 위해 움직이는지 등이 이 영역에 속한다. 어렸을 때 대통령이었던 꿈이 커서는 대기업 직원, 취업을 앞두고는 ‘어디든’으로 바뀌는 것처럼 이 영역에 속하는 특징들은 처한 상황이나 맥락에 따라 바뀐다. 또 첫 번째 영역과는 독립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외향적인 사람과 내향적인 사람이 같은 목표를 세울 수도 있다.
마지막 영역은 개인이 살아온 이야기이다. 이 영역은 앞의 두 영역과는 달리 세상에서 오직 자기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영역이다. 같은 부모 밑에서 자란 일란성 쌍둥이도 서로 다른 인생 이야기를 가지고 있다. 이 세 가지 영역 모두 누군가를 알 때 필요한 영역이지만, 이 세 번째 영역이야말로 그 사람을 바로 그 사람으로 만드는 영역이고, 누군가를 제대로 알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영역이다.
종종 영화나 드라마에서 몇 년을 만나온 연인이 불쑥 이런 말을 꺼낼 때가 있다. “근데 생각해 보니 나는 당신을 잘 모르는 것 같아. 왜 당신은 자기 얘기를 안 해?” 몇 년을 만나 앞의 두 영역에 대해 잘 알아도 인생 이야기 없이는 진짜 그 사람을 아는 것 같지 않다는 것이다. 취업 원서에 자기소개서가 빠지지 않고 들어가는 이유도 마찬가지이다. 스펙을 통해 어떤 능력을 갖고 있는지는 알아도 어떤 사람인지 알기 위해서는 개인의 고유한 이야기가 필요하다.
지금껏 다른 누군가를 아는 것에 대해 논했지만, 자기 자신을 아는 데도 이야기는 중요하다. 아니, 인생 이야기야말로 바로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자신과 성격이 비슷한 사람도 많고 같은 목표를 가진 사람도 많지만, 같은 이야기를 가진 사람은 없기 때문이다. 인간 존재의 유일성은 이야기의 유일성을 통해 확보된다.
호랑이는 죽어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 이름을 남긴다고 하였으나, 전해질 이야기가 없는 이름은 허망할 뿐이다. 오늘이 되었든 50년 후가 되었든 언젠가 우리는 죽을 텐데, 우리가 죽어 남기고 싶은 것이 MBTI에서 나온 알파벳 네 글자는 아닐 것이다. 자신이 기억하고 싶은, 혹은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남기고 싶은 이야기는 무엇일지 생각해 보자. 누군가를 만나게 되면 그 사람의 MBTI 유형이 무엇인지보다 어떤 이야기를 가지고 있는 사람인지 궁금해하자. 그랬을 때 우리는 온전한 자신을, 온전한 그 사람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박선웅 고려대 심리학과 교수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