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노랑의 순간, 마치 사년 뒤 아버지,
전쟁에서 돌아와 그를 맞이한 바로 그
순간, 계단참 아래 더 젊고 마른 모습
으로 아버지 서 있던 순간은 보라였어.
그 순간들 더는 그렇게 색칠되지 않아.
배경 어딘가 작은 장미무늬 방들이 있고.
예쁜 건 예쁘게 하는 것. 어느 가족들은
필요의 의미가 미리 필요한 감정과 일치
하지. 더 좋은 것들 울타리 안에 모아져.
창문들은 풀리지 않는 흰 커튼으로 좁아
지고. 여기 모든 야망에서 놓여난 반복들.
―린 허지니안, ‘나의 인생’ 중
봄이다. 쌀쌀하지만 연한 하늘빛은 영락없는 봄 하늘이다. 우리 집의 봄은 식탁 위 노란 프리지어와 함께 온다. 노란 프리지어. 노랑은 내게 발견의 색깔이다. 침침한 시선을 환하게 틔워 주는 색깔. 시를 색깔에 빗대어 설명한다면 내겐 노랑의 시가 있다. 유학 시절 시집이 닳도록 읽던 린 허지니안의 ‘나의 인생’, 미국 시의 문법을 바꾼 시다.
노랑의 순간 시인은 어린 날을 회상한다. 2차 세계대전에 나간 아버지가 돌아오셨다. 계단참 아래 서 계시던 아버지. 조금 야윈 듯, 조금 젊어진 듯, 아버지가 전쟁에서 돌아오신 순간을 시인은 노랑의 순간으로, 그 기적을 노랑으로 보라로 바뀌는 신비로 묘사한다.
아버지가 돌아와 가족들은 다시 하나가 된다. 필요한 것은 필요하다는 느낌. 어려운 시절, 창문엔 하얀 면 커튼이 드리워져 있다. 커튼은 바깥의 침범을 보호해 주는 든든한 방어막이다. 시집은 시인의 삶 속에 각인된 노랑의 기억들로 가득하다. 노랑이 환기하는 놀람과 발견의 순간들이 반복된다. 반복은 사소하기 그지없는 평범한 순간들로 엮인다. 커다란 역사적 사건이 아니라 무심히 흘러간 사소한 일들이 기억 속에 문득문득 환기된다. 그 반복에는 거창한 야망이 없다. 야망에서 자유롭기에 소중하게 남을 수 있을지 모른다.
봄이 시작되는 이 시점에 되물어 본다. 우리 지나는 시간 속에 어떤 노랑의 순간들이 있었는지? 그 노랑의 순간은 떠난 후에야 비로소 깨닫는 선물일 수도 있고, 예상치 못하게 만나는 환대의 기억일 수도 있다. 지나는 겨울 내가 새기는 노랑의 기억은 수술실에 누워 바라본 불빛이었다. 불안과 두려움일 수 있었을 그 불빛이 불안이 아닌 온전한 평화로 온 것은 기적이었다.
그건 모든 걸 내려놓는 마음이었는데 그 마음을 가능하게 한 것은 아버지의 말씀이었다. 삶의 매 순간은 허투루 보내는 시간이 아니라 의지 속에서 새로운 의미가 주어지는 싸움이라고. 그 말씀에 따라 마음을 굳건히 하니, 마취 직전의 불안이 평화로 바뀌었다. 나는 두려움 없이 잠들었고 다시 잘 깨어날 수 있었다.
시인은 말한다. 예쁜 건 예쁘게 한다는 것, 여기서 동사 ‘do’의 쓰임이 중요하다. 그 구절을 변주해 보면 좋은 것은 좋게 하는 것. 하는 것은 의지요, 행위요, 실천이다. 그렇다면 노랑의 순간, 노랑의 기다림도 노랑을 행하는 마음으로 온다. 그 신비를 알려준 시인 린 허지니안. 1941년 3월 17일에 태어난 시인은 2024년 2월 24일 본향으로 돌아갔다. 이 글은 시의 시선이 곧 발견임을 가르쳐 준 시인에게 보내는 작은 고별사다.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전쟁에서 돌아와 그를 맞이한 바로 그
순간, 계단참 아래 더 젊고 마른 모습
으로 아버지 서 있던 순간은 보라였어.
그 순간들 더는 그렇게 색칠되지 않아.
배경 어딘가 작은 장미무늬 방들이 있고.
예쁜 건 예쁘게 하는 것. 어느 가족들은
필요의 의미가 미리 필요한 감정과 일치
하지. 더 좋은 것들 울타리 안에 모아져.
창문들은 풀리지 않는 흰 커튼으로 좁아
지고. 여기 모든 야망에서 놓여난 반복들.
―린 허지니안, ‘나의 인생’ 중
봄이다. 쌀쌀하지만 연한 하늘빛은 영락없는 봄 하늘이다. 우리 집의 봄은 식탁 위 노란 프리지어와 함께 온다. 노란 프리지어. 노랑은 내게 발견의 색깔이다. 침침한 시선을 환하게 틔워 주는 색깔. 시를 색깔에 빗대어 설명한다면 내겐 노랑의 시가 있다. 유학 시절 시집이 닳도록 읽던 린 허지니안의 ‘나의 인생’, 미국 시의 문법을 바꾼 시다.
노랑의 순간 시인은 어린 날을 회상한다. 2차 세계대전에 나간 아버지가 돌아오셨다. 계단참 아래 서 계시던 아버지. 조금 야윈 듯, 조금 젊어진 듯, 아버지가 전쟁에서 돌아오신 순간을 시인은 노랑의 순간으로, 그 기적을 노랑으로 보라로 바뀌는 신비로 묘사한다.
아버지가 돌아와 가족들은 다시 하나가 된다. 필요한 것은 필요하다는 느낌. 어려운 시절, 창문엔 하얀 면 커튼이 드리워져 있다. 커튼은 바깥의 침범을 보호해 주는 든든한 방어막이다. 시집은 시인의 삶 속에 각인된 노랑의 기억들로 가득하다. 노랑이 환기하는 놀람과 발견의 순간들이 반복된다. 반복은 사소하기 그지없는 평범한 순간들로 엮인다. 커다란 역사적 사건이 아니라 무심히 흘러간 사소한 일들이 기억 속에 문득문득 환기된다. 그 반복에는 거창한 야망이 없다. 야망에서 자유롭기에 소중하게 남을 수 있을지 모른다.
봄이 시작되는 이 시점에 되물어 본다. 우리 지나는 시간 속에 어떤 노랑의 순간들이 있었는지? 그 노랑의 순간은 떠난 후에야 비로소 깨닫는 선물일 수도 있고, 예상치 못하게 만나는 환대의 기억일 수도 있다. 지나는 겨울 내가 새기는 노랑의 기억은 수술실에 누워 바라본 불빛이었다. 불안과 두려움일 수 있었을 그 불빛이 불안이 아닌 온전한 평화로 온 것은 기적이었다.
그건 모든 걸 내려놓는 마음이었는데 그 마음을 가능하게 한 것은 아버지의 말씀이었다. 삶의 매 순간은 허투루 보내는 시간이 아니라 의지 속에서 새로운 의미가 주어지는 싸움이라고. 그 말씀에 따라 마음을 굳건히 하니, 마취 직전의 불안이 평화로 바뀌었다. 나는 두려움 없이 잠들었고 다시 잘 깨어날 수 있었다.
시인은 말한다. 예쁜 건 예쁘게 한다는 것, 여기서 동사 ‘do’의 쓰임이 중요하다. 그 구절을 변주해 보면 좋은 것은 좋게 하는 것. 하는 것은 의지요, 행위요, 실천이다. 그렇다면 노랑의 순간, 노랑의 기다림도 노랑을 행하는 마음으로 온다. 그 신비를 알려준 시인 린 허지니안. 1941년 3월 17일에 태어난 시인은 2024년 2월 24일 본향으로 돌아갔다. 이 글은 시의 시선이 곧 발견임을 가르쳐 준 시인에게 보내는 작은 고별사다.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2024-03-12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