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느린 학습자

[씨줄날줄] 느린 학습자

박상숙 기자
박상숙 기자
입력 2024-07-05 00:31
업데이트 2024-07-05 00: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도대체 ‘정상’(normal)이란 단어의 뜻이 뭐죠?”

영화 ‘포레스트 검프’에서 포레스트의 엄마는 아들의 입학을 거절하는 교장을 향해 이렇게 쏘아붙인다. 포레스트는 영화 속 주인공이지만 요즘 우리 사회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경계선 지능인’을 말할 때 늘 거론되는 인물이다. 또래보다 지능이 낮아 이름보다 바보, 멍청이로 더 많이 불리는 포레스트는 자식의 장애에도 당당함을 잃지 않은 엄마의 교육으로 훌륭한 성인으로 거듭난다.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미국 역사의 주요 사건에 포레스트의 삶을 침투시킨 영화는 험난한 세상을 사는 데 필요한 건 좋은 머리보다 순수하고 착한 마음이라는 교훈을 준다.

30년 전에 나온 영화의 해피엔딩과 달리 한국에서 ‘현실의 포레스트’들은 여전히 차가운 편견을 마주하고 있다. 경계선 지능인의 지능지수는 71~84. 지적장애인에 속하지는 않지만 학습능력, 어휘력, 인지능력, 이해력, 대인관계 등 모든 면에서 어려움을 느낀다.

성인이 돼도 정신연령이 평균 10~13세 수준이다. 아무리 가르쳐도 배움이 축적되지 않고, 수백번 말을 해도 지시사항을 알아듣지 못해 학교나 직장에서 배제되고 괴롭힘의 대상이 되는 경우도 많아 부모들이 속을 끓여 왔다. 겉으로는 평범해 보여 문제 발견이 늦어져 적절한 교육을 제때 받지 못한 탓에 이들의 자립은 언감생심.

‘느린 학습자’라고 불리는 이들은 현재 전체 인구의 약 13%인 699만명으로 추정된다. 정부가 이들에 대한 종합대책을 처음으로 내놨다. 하반기 실태조사를 실시해 경계선 지능인을 조기 발견,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뒀다. 제대로 된 통계도 없을 정도로 정책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이들에게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평균’, ‘정상’이란 말로 차별을 당해 온 이들이 제 삶의 속도에 맞춰 어엿한 사회의 일원이 되는 발판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박상숙 논설위원
2024-07-05 35면
많이 본 뉴스
고령 운전자 사고를 줄이려면
‘서울 시청역 역주행 사고’ 이후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다음 중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대책은 무엇일까요?
고령자 실기 적성검사 도입 
면허증 자진 반납제도 강화
고령자 안전교육 강화
운행시간 등 조건부 면허 도입
고령자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