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에 대한 논의가 뜨거워지고 있다. 한쪽에서는 조속한 재가동을 주장하고, 또 다른 쪽에서는 이에 반대한다. 유엔 대북 제재의 각 조항이 개성공단에 해당하는지 여부도 논란의 대상이다. 북한이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 선언을 한 1993년 이후 유엔안보리는 일련의 대북 제재를 채택해 온 반면 유엔글로벌콤팩트(UNGC)는 2014년 평화를 위한 기업 활동의 우수 사례로 개성공단을 소개하기도 했다. 엇갈린 주장이 맞서는 가운데 개성공단의 미래는 아직 시계 제로다.
적대 지역에서 생산이나 교역 행위를 한다는 점에서 개성공단의 역사적 선례는 많다. 그중 하나가 일본 나가사키의 데지마(出島)다. 1641년에서 1859년까지 에도막부의 철저한 쇄국정책 속에서 네덜란드 무역의 유일한 보루 역할을 한 곳이다. 당시 네덜란드 상인은 오직 무역 이익만을 추구하고 기독교의 전파를 꾀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이 섬에서의 교역을 허락받았다. 그럼에도 그 영향력이 전파되는 것을 피할 수 없었고 결국 일본 난학(蘭學)의 발상지가 됐다. 서울대 규장각의 김시덕 교수는 일본의 데지마와 그의 조선 버전인 왜관, 중국 버전인 칸톤 시스템 등을 가리켜 ‘동아시아 역사의 개성공단들’이라고 부른다.
이스라엘 기업인 소다스트림은 팔레스타인 지역의 미쇼 아두민 공단에 진출했으나 팔레스타인에 대한 부당한 점령 및 횡포에 반대하는 국제적인 압력에 의해 공장을 폐쇄했고 그 결과는 역설적으로 수백 명 팔레스타인 노동자의 실직이었다. 이처럼 적대 지역에 진출하는 기업 활동의 사례는 많다. 개성공단은 한반도라는 특수한 상황뿐 아니라 인류 역사의 보편적 흐름이라는 입장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불투명한 현재의 상황에도 불구하고 선제적 관점에서 개성공단의 미래를 그리지 못할 이유는 없다. 2016년 2월 폐쇄 직전 3단계로 구성된 전체 계획에서 1단계만이 진행돼 있었다. 총 200필지의 공장 부지 중 준공된 것은 91필지로 절반이 조금 못 됐다. 그럼에도 근로자의 수는 5만명을 훌쩍 넘었다. 주거 기능이 없었던 개성공단의 특성상 그중 상당수는 개성과 그 인근 지역에 거주하고 있었다. 개성공단은 4㎞ 남짓 떨어진 개성에 철저하게 의존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그 개성이 어떤 곳인가. 쉽게 말하면 한반도의 대표적 역사 도시다. 한국전쟁 당시 대한민국의 영토였으나 개전 초기에 너무 빨리 함락되는 바람에 오히려 대규모 전투가 없었고 미군의 폭격도 피해 갔다. 전쟁 이후 일부 도시 구조에 변화가 있었지만 북한의 낙후된 경제 상황 탓에 본격적인 발전의 기회를 갖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은 역설적으로 개성의 역사적 환경이 잘 보존될 수 있었던 조건이 됐다. 그 결과 아직도 어마어마한 숫자의 한옥이 그대로 남아 있다. 한반도 최고의 한옥 도시는 서울이나 전주, 경주가 아니라 개성이다.
장기적으로 이 한옥을 보존하고 수리하고 개선하는 데 상당한 산업적 인프라가 필요할 것이다. 수많은 인력의 교육도 필수적이다. 이를 위한 거점으로 바로 인근의 개성공단만 한 곳은 없다. 개성에 존재하고 있을 한옥 관련 인력들이 이 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 공단 바로 옆을 지나는 경의선 철도를 이용하면 국내에 수입되고 있는 양질의 시베리아 소나무를 육로로 수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교육 시설인 기술교육센터도 이미 준비돼 있다. 함께 배우고 생산한 결과는 남북한 모두에 골고루 혜택을 줄 것이다. 여전히 고가인 한옥의 공급 가격이 내려갈 수 있고, 나아가 앞으로 시장이 점점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일반적 목조건축산업 또한 큰 혜택을 볼 수 있다. 한옥은 남북 간의 역사적, 문화적, 산업적 연결 고리로서 충분한 가능성을 갖고 있다.
어둠이 깊을 때 어딘가에서 떠오를 해를 기다리고 하루를 준비하는 법이다. 개성공단의 미래를 치열하게 논의할 시점은 오히려 모든 것이 불투명한 지금이다. 지난 10년 동안 여러 번 반복해서 해 오던 주장을 지금 다시 하는 이유다. 건축은 시대와 지역, 문화의 소산이지만, 이를 뛰어넘는 것이기도 하다. 한반도의 미래를 논하는 데 건축이 마땅히 수행해야 할 역할, 그 단초를 놓을 곳은 바로 개성공단이다.
황두진 건축가
이스라엘 기업인 소다스트림은 팔레스타인 지역의 미쇼 아두민 공단에 진출했으나 팔레스타인에 대한 부당한 점령 및 횡포에 반대하는 국제적인 압력에 의해 공장을 폐쇄했고 그 결과는 역설적으로 수백 명 팔레스타인 노동자의 실직이었다. 이처럼 적대 지역에 진출하는 기업 활동의 사례는 많다. 개성공단은 한반도라는 특수한 상황뿐 아니라 인류 역사의 보편적 흐름이라는 입장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불투명한 현재의 상황에도 불구하고 선제적 관점에서 개성공단의 미래를 그리지 못할 이유는 없다. 2016년 2월 폐쇄 직전 3단계로 구성된 전체 계획에서 1단계만이 진행돼 있었다. 총 200필지의 공장 부지 중 준공된 것은 91필지로 절반이 조금 못 됐다. 그럼에도 근로자의 수는 5만명을 훌쩍 넘었다. 주거 기능이 없었던 개성공단의 특성상 그중 상당수는 개성과 그 인근 지역에 거주하고 있었다. 개성공단은 4㎞ 남짓 떨어진 개성에 철저하게 의존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그 개성이 어떤 곳인가. 쉽게 말하면 한반도의 대표적 역사 도시다. 한국전쟁 당시 대한민국의 영토였으나 개전 초기에 너무 빨리 함락되는 바람에 오히려 대규모 전투가 없었고 미군의 폭격도 피해 갔다. 전쟁 이후 일부 도시 구조에 변화가 있었지만 북한의 낙후된 경제 상황 탓에 본격적인 발전의 기회를 갖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은 역설적으로 개성의 역사적 환경이 잘 보존될 수 있었던 조건이 됐다. 그 결과 아직도 어마어마한 숫자의 한옥이 그대로 남아 있다. 한반도 최고의 한옥 도시는 서울이나 전주, 경주가 아니라 개성이다.
장기적으로 이 한옥을 보존하고 수리하고 개선하는 데 상당한 산업적 인프라가 필요할 것이다. 수많은 인력의 교육도 필수적이다. 이를 위한 거점으로 바로 인근의 개성공단만 한 곳은 없다. 개성에 존재하고 있을 한옥 관련 인력들이 이 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 공단 바로 옆을 지나는 경의선 철도를 이용하면 국내에 수입되고 있는 양질의 시베리아 소나무를 육로로 수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교육 시설인 기술교육센터도 이미 준비돼 있다. 함께 배우고 생산한 결과는 남북한 모두에 골고루 혜택을 줄 것이다. 여전히 고가인 한옥의 공급 가격이 내려갈 수 있고, 나아가 앞으로 시장이 점점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일반적 목조건축산업 또한 큰 혜택을 볼 수 있다. 한옥은 남북 간의 역사적, 문화적, 산업적 연결 고리로서 충분한 가능성을 갖고 있다.
어둠이 깊을 때 어딘가에서 떠오를 해를 기다리고 하루를 준비하는 법이다. 개성공단의 미래를 치열하게 논의할 시점은 오히려 모든 것이 불투명한 지금이다. 지난 10년 동안 여러 번 반복해서 해 오던 주장을 지금 다시 하는 이유다. 건축은 시대와 지역, 문화의 소산이지만, 이를 뛰어넘는 것이기도 하다. 한반도의 미래를 논하는 데 건축이 마땅히 수행해야 할 역할, 그 단초를 놓을 곳은 바로 개성공단이다.
2018-01-08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