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유출지 의혹에 강력 부인
NYT 인터뷰 통해 “무고한 과학자”
연구소 영상 안전불감증 문제 제기
![2017년 12월 29일 중국 CCTV에 방영된 영상에서 우한바이러스연구소의 연구진들이 맨손으로 박쥐 배설물을 채취하고 있다. 유튜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6/03/SSI_20210603010841_O2.jpg)
![2017년 12월 29일 중국 CCTV에 방영된 영상에서 우한바이러스연구소의 연구진들이 맨손으로 박쥐 배설물을 채취하고 있다. 유튜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6/03/SSI_20210603010841.jpg)
2017년 12월 29일 중국 CCTV에 방영된 영상에서 우한바이러스연구소의 연구진들이 맨손으로 박쥐 배설물을 채취하고 있다. 유튜브
뉴욕타임스는 14일(현지시간) 박쥐 코로나바이러스의 최고 권위자로 알려진 우한연구소 스정리 박사가 연구소가 코로나19 유출지라는 의혹을 일축했다고 보도했다.
스 박사는 코로나19가 우한 연구소에서 유전자 조작을 통해 만들어졌다는 의혹에 대해 “우리 연구소는 유전자 억제 조작을 통해 바이러스의 감염성을 강화하는 연구를 하거나, 협조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2017년 기존 박쥐 코로나바이러스를 혼합해 인간에게 전염될 수 있는 변종을 만들었다는 논문을 발표한 스 박사는 중국 전역에서 1만 개가 넘는 박쥐 바이러스 샘플을 수집했다. 스 박사는 자신의 연구는 박쥐 코로나바이러스의 이종 전염을 연구하기 위한 것이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스 박사는 특히 코로나19 사태 배후에 중국과 자신이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거듭 억울함을 나타내며 “난 잘못한 것이 없기에 겁날 것도 없다”고 말했다. 스 박사는 코로나19 사태 발발 직전 우한연구소의 연구원 일부가 병원 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아팠다는 미국 정부의 정보보고서 내용도 부인했다.
스 박사는 코로나19 사태 배후에 중국과 자신이 있다는 주장에 대해 거듭 억울함을 나타냈다. 그는 “없다는 증거를 어떻게 댈 수 있겠느냐”라며 “세상이 무고한 과학자에게 오명을 뒤집어씌우려 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 2월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조사단이 코로나19 기원을 연구하고자 후베이성 우한의 바이러스 연구소를 조사하자 보안요원들이 연구소 주위를 통제하고 있다. 우한 A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6/13/SSI_20210613143406_O2.jpg)
![지난 2월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조사단이 코로나19 기원을 연구하고자 후베이성 우한의 바이러스 연구소를 조사하자 보안요원들이 연구소 주위를 통제하고 있다. 우한 A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6/13/SSI_20210613143406.jpg)
지난 2월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조사단이 코로나19 기원을 연구하고자 후베이성 우한의 바이러스 연구소를 조사하자 보안요원들이 연구소 주위를 통제하고 있다. 우한 AP 연합뉴스
미펑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국가위건위) 대변인은 최근 브리핑에서 “서구 언론이 감염병 바이러스 실험실 유출설을 확산하고 있다”는 입장을 냈다. 미 대변인은 “중국은 전 세계 과학자들이 감염병 기원 조사에 나선 것을 전폭적으로 지지했다”면서 “중국은 세계보건기구(WHO)와 협력해 합동 조사까지 마쳤다”고 말했다.
중국은 “우한 연구소 바이러스 유출론은 서방 국가들이 코로나19 확산 이후 중국에 책임을 떠넘기려고 제기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2017년 12월 29일 중국 CCTV에 방영된 영상에서 우한바이러스연구소 연구진이 박쥐 샘플을 다루고 있다. 유튜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6/03/SSI_20210603011051_O2.jpg)
![2017년 12월 29일 중국 CCTV에 방영된 영상에서 우한바이러스연구소 연구진이 박쥐 샘플을 다루고 있다. 유튜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6/03/SSI_20210603011051.jpg)
2017년 12월 29일 중국 CCTV에 방영된 영상에서 우한바이러스연구소 연구진이 박쥐 샘플을 다루고 있다. 유튜브
중국 우한바이러스연구소의 연구원들이 개인보호장비(PPE)를 착용하지 않고 박쥐를 다루는 모습을 담은 영상이 뒤늦게 주목받기도 했다.
2017년 12월 29일 우한바이러스연구소의 박쥐 바이러스 권위자인 스정리 박사를 소개하는 동영상에서 연구진은 맨손으로 박쥐와 그 배설물을 만지거나, 장갑 외에는 별다른 보호장비를 착용하지 않고 연구를 진행하는 모습이 여러 차례 나온다.
박쥐는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확산의 주범으로 알려져 있으며, 광견병바이러스를 옮길 수도 있다.
지난 1월 우한을 직접 방문해 코로나19 기원을 조사했던 세계보건기구(WHO) 전문가팀은 바이러스가 박쥐와 같은 중간 동물 숙주를 거쳐 인간에게 전파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스콧 고틀리브 전 미국 식품의약국(FDA) 국장은 지난달 30일 “코로나19가 중국 우한의 연구소에서 기원했음을 시사하는 정황이 점점 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이에 대해 ‘미국의 음모’라는 주장을 반복하고 있다.
김유민 기자 planet@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