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 이스라엘과 물량 확보 추진
헝가리 이어 슬로바키아도 러 백신 구매
제바스티안 쿠르츠 오스트리아 총리. 2021.3.2
로이터 연합뉴스
로이터 연합뉴스
제바스티안 쿠르츠 오스트리아 총리는 이날 “덴마크 메테 프레데릭센 총리와 함께 4일 이스라엘을 방문해 코로나19 백신 확보를 위한 협력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쿠르츠 총리는 “백신 접종을 EU 전체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것이 원칙적으로 맞지만 EMA의 백신 승인이 너무 느리다”며 “향후 변이에 대비하는 차세대 백신 생산에서 더는 EU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라고 주장했다.
슬로바키아는 지난 1일 EAM가 아직 승인하지 않은 러시아 백신 ‘스푸트니크 V’를 승인하고, 러시아와 200만회분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지난 13일부터 러시아 백신을 접종 중인 헝가리에 이어 두 번째다. 헝가리는 EMA 승인을 받지 않은 또 다른 백신인 중국의 ‘시노팜’도 유통시키고 있다. 인접국인 체코도 러시아 백신 승인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이 동유럽 국가들은 EMA 승인을 받지 않은 백신이더라도 개별 회원국이 긴급 승인할 수 있는 제도를 십분 활용했다. EU 백신 정책에 따른 결과 국가 단위로 접종 계획을 세운 영국, 미국, 이스라엘보다 접종 속도가 더디게 됐다는 불만이 국가별 긴급승인을 활성화시켰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EU 전체 인구 4억 4700만명 중 코로나19 백신의 첫 회 접종을 마친 사람의 비율은 5.5%에 불과하다.
졸탄 코바치 헝가리 국무부 장관은 CNN과의 인터뷰에서 “EU의 관료주의가 백신 부족 문제에 신속한 해법을 제시하지 못해 우리는 최소 두 달 이상 뒤처졌다”며 “백신 접종은 정치적 이슈가 아니라 효과성과 신뢰성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밀로시 제만 체코 대통령은 “우리에게 러시아와 중국 백신을 쓰지 말라고 하는 그들에게 ‘백신에 이념은 없다’고 답하고 싶다”고 말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21-03-04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