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차르트 작품 연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모차르테움 오케스트라가 오는 9일부터 아담 피셔의 지휘로 모차르트 음악의 진수를 선보인다. I.A.M 제공
14년 만의 내한 공연을 앞둔 헝가리의 명지휘자 아담 피셔(74)에게 한국에서 하고 싶은 것을 묻자 나온 답이다. 그는 “유럽에서도 한국 식당을 쉽게 만날 수 있지만 한국에서 먹는 한국 음식이 당연히 더 좋을 것”이라며 보통의 지휘자와는 색다른 기대감을 나타냈다.
그의 마지막 내한 공연은 2009년으로 거슬러 간다. 당시 하이든 필하모니와 함께 한국을 찾아 하이든의 다양한 음악 세계를 선사했다. 이번에는 180여년간 모차르트의 정신을 이어 온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오케스트라를 이끌고 서울 롯데콘서트홀(9일)과 예술의전당(10일), 수원 경기아트센터(11일), 경기 광주시 남한산성아트홀(12일)에서 내한 공연을 펼친다.
모차르트·하이든 스페셜리스트로 불리는 피셔는 고전주의 작곡가의 최고 해석자 중 하나로 꼽힌다. 종종 내한 공연을 펼쳤던 동생 이반 피셔(72)도 세계적인 지휘자일 정도로 타고난 음악 유전자가 남다르다.
지휘자 아담 피셔. 경기아트센터 제공
이번 공연은 모두 모차르트 음악으로 채웠다. 특히 관심을 끄는 것은 교향곡 40번이다. 교향곡 25번과 더불어 딱 두 개뿐인 단조곡으로 주로 밝은 분위기로 작곡한 모차르트의 또 다른 내면을 상상하게 하는 곡이다.
피셔는 “전설적인 지휘자 브루노 발터(1876~1962)가 ‘당신이 50세 이하라면 모차르트 교향곡 40번을 지휘할 시도도 하지 말아라’라고 했다”면서 “나도 50세 이전에 이 곡을 연주한 적이 있었고 당시에는 내가 부족하다고 느끼지 않았지만 지금 생각해 보면 매우 부족했다”고 떠올렸다. 그에게 40번은 “마치 기적으로 가득한 인생의 경험과 그 에너지를 느끼게 하는” 곡이다.
그가 생각하는 모차르트는 “인간의 감정을 음악에 담기 시작한 작곡가”다. 모차르트 음악 연주에서 특히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도 바로 감정적인 영역이다. 피셔는 “제대로 모차르트의 음악을 연주하기 위해서는 단원 한 명 한 명과 지휘자, 협연자까지 모두가 끈끈한 유대감으로 융합해야 한다. 그냥 음표를 연주하는 것이 아니라 모차르트를 사랑하는 하나의 감정으로 연주해 내야 한다”고 강조하며 감정적으로 남다를 특별한 연주회를 예고했다.
2023-03-0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