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기의 작가들에게 글쓰기란 ‘끝없는 사랑과 고통’

세기의 작가들에게 글쓰기란 ‘끝없는 사랑과 고통’

입력 2014-01-27 00:00
수정 2014-01-27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2인 인터뷰 ‘작가란 무엇인가’

“저는 대가족에서 자랐고 공동체를 소중히 여기라고 배웠지만 나중에는 떨어져 나오고 싶은 충동을 갖게 됐어요. 어릴 때 공동체가 제 상상력을 죽인다는 걸 깨달았답니다. 제 상상력이 작동하게 하려면 외로움이라는 고통이 필요해요.”(오르한 파묵)

“그(무라카미 류)는 아주 자연스럽고 강력한 재능이 있어요. 마치 표면 바로 아래 유정이 있는 것 같아요. 제 경우에는 유정이 너무 깊이 자리 잡고 있어서 파고 또 파고 또 파내야 합니다. 정말 힘든 일이지요. 하지만 일단 도달하면 저는 강해지고 자신감을 느낍니다.”(무라카미 하루키)

“글쓰기는 당신의 도덕적인 성품에는 낯선 특질을, 당신이란 존재를 통해 빨아올리는 매우 고된 정신적인 훈련이 될 수 있습니다. 독자에게만큼 작가에게도 고되지요. 복화술사나 공연 배우보다는 칼을 삼키는 사람처럼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필립 로스)





HB 연필 일곱 자루를 뭉툭하게 만들면 하루 일로 충분하다고 생각했던 세계적인 대문호 어니스트 헤밍웨이. 작가가 되기로 결심했을 때를 기억하느냐는 질문에 “나는 늘 작가가 되고 싶었다”고 대답한 그는 “글쓰기를 끝내고 나면 마치 누군가와 사랑을 하고 난 뒤처럼 가득 채워진 느낌이 든다”고 했다. 작업이 잘 될 때는 흥분한 아이처럼 땀을 뻘뻘 흘리지만, 영감의 기운이 사라지면 금세 비참해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글쓰기를 위해서라면 스스로 부과한 규율의 노예를 자처했던 천생 작가였다.

세기의 작가들이 글쓰기를 향한 가없는 고통과 사랑을 고백했다. ‘작지만 세상에서 가장 강한 문학잡지’로 불리는 미국 문학잡지 ‘파리 리뷰’가 만난 소설가들의 인터뷰를 엮은 ‘작가란 무엇인가’(다른)이다. 지난해 출판사 ‘다른’은 국내 문예창작과 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가장 만나고 싶은 작가’를 설문조사해 36명을 선정했다. 이번 책은 1위부터 12위까지를 담은 1권. 나머지 24명은 올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 2, 3권에 각각 등장할 예정이다. 가장 최근 인터뷰(2008년 움베르토 에코)와 가장 오래된 인터뷰(1953년 E M 포스터) 사이에는 반세기가 넘는 간극이 흐른다.

20~21세기 세계 문단을 지배한 작가들은 사소한 글쓰기의 습관부터 작가로서의 인생을 살아가게 만든 순간들, 작가가 존경하는 동시대 작가들, 작품을 쓸 때마다 엄습하는 불안과 절망, 그럼에도 불구하고 샘솟는 글쓰기에 대한 사랑, 문학에 대한 신뢰까지 내밀한 고백을 이어 나간다.

서서 글을 썼던 헤밍웨이는 소설의 제목 하나를 정하기 위해 많게는 100여개의 제목을 쓴 적도 있다. 움베르토 에코는 마음에 드는 어조를 찾아내기 위해 같은 페이지를 수십 번 쓰는 것도 모자라 쓴 문장을 다시 소리 내어 읽어 보기도 했다. 처음 시에 도전했던 오르한 파묵은 ‘시인이란 신이 말을 걸어 주는 자’라는 사실을 깨닫고 시쓰기를 단념한 뒤 하루 평균 열 시간씩 ‘사무원’처럼 글쓰기에 몰두한다고 고백했다. “내 책이 미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믿음이 내가 가진 유일한 위안”이라는 고백과 함께.

글쓰기에 대한 성찰과 정의, 목표도 다채롭다. 자판 위에 손가락을 얹으면 명징하게 생각할 수 없어 늘 펜으로 쓴다는 폴 오스터는 “펜을 쓴다는 것은 말이 몸에서 흘러나오고 그 말들을 종이에 새겨 넣는 과정을 느끼는 것”이라고 말했다. 무라카미 하루키에게 글쓰기의 이상이자 목표는 “레이먼드 챈들러와 도스토옙스키를 한 권에 집어넣는 것”이었다. 생계 때문에 빠르게 쓸 수 있는 단편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미국 소설가 레이먼드 카버에게 소설 쓰기는 “아무리 희미할지라도 계속해서 불타오르는 불꽃을 쏘아 올리는 일”이었다.

이런 ‘선배’들의 고백을 접한 작가 김연수는 “소설가는 늘 실패한다는 사실을 운명처럼 받아들여야만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토로한다. “그제야 나는 내가 되고자 하는 소설가가 어떤 사람인지 알게 됐다. 단 한 번의 불꽃, 뒤이은 그을음과 어둠, 그리고 평생에 걸친 글쓰기라는 헌신만이 나를 소설가로 만든다는 것을.”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4-01-27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