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파잡기/한재락 지음/안대회 옮김/휴머니스트/240쪽/1만 5000원
“나는 규중 여자로 태어나지 못해서 정숙한 여자가 한 남자를 따르는 올바른 길을 좇을 수 없어. 그렇다고 답답하게 청춘을 슬퍼하며 한평생 묻혀 지낼 수야 없지 않겠어? 다만 남자들을 많이 겪어 봤어도 내 마음에 드는 사람은 없었어. 만약 마음에 둔 사람을 만나기만 한다면 그 사람이 가난뱅이일지라도 마땅히 몸을 던져 그를 섬길 거야.” 평양의 기생 난임이 왜 혼자 사느냐는 친구들의 질문을 받고 답한 말이다. 개성의 한량 한재록이 1829년쯤 지은 ‘녹파잡기’에 담긴 내용이다. ‘잘나가는’ 평양 기생의 당당함 너머로 사랑을 갈구하는 여성 특유의 성정이 묻어난다.
녹파(綠波)는 평양을 이르는 말이다. 평양의 기생, 혹은 이들의 삶을 상징하기도 한다. 고려 때 시인 정지상이 지은 한시 ‘임을 보내며’(송인)의 “해마다 이별의 눈물만을 푸른 물결(綠波)에 더할 뿐”이란 구절에서 따왔다고 한다. 평양은 기생으로 이름난 색향이다. 남녀 간 애사도 대동강 푸른 물결처럼 흔하고 많았을 터다. 제목에서 보듯 책은 일종의 르포다. 뛰어난 기예와 기개를 가졌던 평양 기생들의 다양한 인생 편력을 채록해 담았다.
이 책은 한재락이 지은 동명의 고서를 번역한 것이다. 2006년 ‘녹파잡기’의 존재를 학계에 처음 알린 저자가 지난 6월 원본을 입수한 것이 출간의 계기가 됐다. 조선시대 기생을 주제로 삼은 거의 유일한 단행본이어서 사료로서의 가치가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책엔 모두 66명의 평양 기생이 등장한다. 하나같이 문인들과 교유할 수 있을 정도의 학식을 갖췄거나 예술에 조예가 깊었던 이들이다. 몇 마디 문장으로 전한 이도 있고, 긴 글로 담아낸 이도 있다.
66명이나 되는 사람들의 외모나 성정 등을 표현하려면 당연히 겹쳐지는 대목이 있을 법하다. 한데 없다. 그만큼 등장인물의 사람됨에 대해 면밀하게 관찰하고 섬세하게 기록했다는 뜻이다.
다 같은 기생이라도 성정은 저마다 달랐다. 요즘 말로 ‘비혼족’도 있었다. 죽엽이 그랬다. 그는 “지아비를 따르며 속박을 받느니 청춘이 가기 전에 명승지를 골라 가야금을 안고 가서 마음껏 노닐겠다”고 당당하게 외쳤다. 나섬은 손님에게서 외설스러운 말을 들으면 가락지를 던져 깨 버릴 정도로 도도했고, 마마를 앓은 수애는 흉터에도 불구하고 늘 당당한 태도로 손님을 맞았다. 책은 기생 외에도 기방 주변을 떠돌던 남정네 5명의 이야기와 한문 원서를 함께 담고 있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나는 규중 여자로 태어나지 못해서 정숙한 여자가 한 남자를 따르는 올바른 길을 좇을 수 없어. 그렇다고 답답하게 청춘을 슬퍼하며 한평생 묻혀 지낼 수야 없지 않겠어? 다만 남자들을 많이 겪어 봤어도 내 마음에 드는 사람은 없었어. 만약 마음에 둔 사람을 만나기만 한다면 그 사람이 가난뱅이일지라도 마땅히 몸을 던져 그를 섬길 거야.” 평양의 기생 난임이 왜 혼자 사느냐는 친구들의 질문을 받고 답한 말이다. 개성의 한량 한재록이 1829년쯤 지은 ‘녹파잡기’에 담긴 내용이다. ‘잘나가는’ 평양 기생의 당당함 너머로 사랑을 갈구하는 여성 특유의 성정이 묻어난다.
이 책은 한재락이 지은 동명의 고서를 번역한 것이다. 2006년 ‘녹파잡기’의 존재를 학계에 처음 알린 저자가 지난 6월 원본을 입수한 것이 출간의 계기가 됐다. 조선시대 기생을 주제로 삼은 거의 유일한 단행본이어서 사료로서의 가치가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책엔 모두 66명의 평양 기생이 등장한다. 하나같이 문인들과 교유할 수 있을 정도의 학식을 갖췄거나 예술에 조예가 깊었던 이들이다. 몇 마디 문장으로 전한 이도 있고, 긴 글로 담아낸 이도 있다.
66명이나 되는 사람들의 외모나 성정 등을 표현하려면 당연히 겹쳐지는 대목이 있을 법하다. 한데 없다. 그만큼 등장인물의 사람됨에 대해 면밀하게 관찰하고 섬세하게 기록했다는 뜻이다.
다 같은 기생이라도 성정은 저마다 달랐다. 요즘 말로 ‘비혼족’도 있었다. 죽엽이 그랬다. 그는 “지아비를 따르며 속박을 받느니 청춘이 가기 전에 명승지를 골라 가야금을 안고 가서 마음껏 노닐겠다”고 당당하게 외쳤다. 나섬은 손님에게서 외설스러운 말을 들으면 가락지를 던져 깨 버릴 정도로 도도했고, 마마를 앓은 수애는 흉터에도 불구하고 늘 당당한 태도로 손님을 맞았다. 책은 기생 외에도 기방 주변을 떠돌던 남정네 5명의 이야기와 한문 원서를 함께 담고 있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7-11-2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