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사 고 임진원 순경 74년만에 가족 품으로

6·25전사 고 임진원 순경 74년만에 가족 품으로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24-07-30 14:23
수정 2024-07-30 14: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고 임진원 순경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
고 임진원 순경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 이근원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장이 30일 경기 동두천시 소재 유가족 자택에서 열린 고 임진원 순경의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에서 유가족 및 관계자들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아내와 두 살배기 어린 자녀를 두고 6·25전쟁에 참전했다가 전사한 병사의 유해가 70여 년 만에 가족 품으로 돌아갔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은 2000년 4월 경북 칠곡군 다부동 유학산 일대에서 발굴된 유해가 고 임진원 순경으로 확인됐다고 30일 밝혔다. 고인은 1919년 3·1운동 당시 민족대표 48인 가운데 한 명인 독립운동가 임규 선생의 조카이기도 하다.

전북 김제경찰서 소속 경찰관이었던 고인은 영광, 목포, 벌교, 하동, 사천 등에서 북한군의 남하를 저지하기 위한 작전을 수행한 뒤 국군 제1사단을 지원하고자 칠곡 다부동 ‘유학산 전투’에 참전했다가 1950년 8월 30일 서른살의 나이로 전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유학산 전투는 국군 제1사단이 1950년 8월 13일부터 8월 30일까지 경북 칠곡군 유학산 일대에서 북한군 2개 사단의 공격을 격퇴하고 방어선을 확보해 대구 방어에 기여한 전투다.

고인의 딸인 임정순 씨는 아버지의 유해를 찾고자 2008년 유전자 시료를 국유단에 제공했지만 당시 둘의 가족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후 국유단은 최신 기술로 유전자를 재분석해 유해 발굴 24년 만에 가족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