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中패권 견제… 경제안보로 뭉쳤다

한미일 中패권 견제… 경제안보로 뭉쳤다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23-03-01 00:09
수정 2023-03-01 06: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달 경제안보대화 첫 개최
반도체·배터리 등 공급망 협력

이미지 확대
용산 대통령실. 서울신문DB
용산 대통령실. 서울신문DB
전 세계적으로 공급망 등 경제안보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한미일 3국이 글로벌 공급망 이슈 등을 함께 논의하기 위한 첫 경제안보대화를 27일(현지시간) 미국 호놀룰루에서 개최했다.

대통령실은 28일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해 11월 싱가포르 프놈펜에서 개최한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3국 정상이 3국 간 경제안보대화를 신설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그 후속조치로 경제안보대화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한국에서는 국가안보실 왕윤종 경제안보비서관이 수석대표로 참석했고 미국은 타룬 차브라 백악관 기술·국가안보 담당 선임보좌관이, 일본은 다카무라 야스오 총리실 국가안전보장국 내각심의관이 각각 카운터파트로 함께했다. 3국 대표는 양자·바이오·우주 등 신흥·핵심 기술 분야의 협력과 전문인력 교류 확대, 반도체·배터리·핵심광물의 공급망 안정화 등에 관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윤석열 정부에서 한미 양국 간 경제안보대화 채널을 가동하고 있는 가운데 이를 일본과의 협력 차원으로 확대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앞서 한미일 3국 정상이 합의한 프놈펜 공동성명에서는 ‘경제적 강압에 대응하기 위한 3국 간 연대’를 명시한 내용이 포함돼 중국의 경제패권을 겨냥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대통령실은 “이번 한미일 경제안보대화는 3국 간에 주요 공급망 회복 탄력성과 위기 대응 능력을 강화하고 핵심·신흥기술의 진흥과 보호 등 경제안보 협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3-03-01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