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3378명 고독사… 5060 남성을 노린다

작년 3378명 고독사… 5060 남성을 노린다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2-12-14 22:08
업데이트 2022-12-15 02: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 첫 고독사 실태조사 발표

남성이 84%… 5년 새 10% 늘어
극단적 선택보다 지병 탓 많아
아파트보다 주택서 절반 이상
“위험군 중심 예방체계 마련을”
‘주택에 거주하는 50~60대 중년 남성’이 성·연령·주거형태를 통틀어 고독사 위험이 가장 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위험군 중심의 고독사 예방체계를 시급히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4월부터 8개월에 걸쳐 최근 5년간 발생한 고독사 현황과 특징을 조사한 ‘2022년 고독사 실태조사’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고독사 예방관리법에 근거해 시행한 첫 조사다. ‘주변과 단절된 채 홀로 사는 사람이 자살·병사 등으로 혼자 임종을 맞고 일정 시간이 흐르고서 시신이 발견되는 죽음’을 고독사의 기준으로 삼았다.

지난해 이렇게 고독사한 사람은 3378명으로 성별 미상자를 제외한 3346명 중 남성이 84.1%(2817명)다. 여성(529명)보다 4배 이상 많다. 고독사는 2017년 2412명, 2018년 3048명, 2019년 2949명, 2020년 3279명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 10.0%, 여성 5.6%로 집계됐다. 전체 사망자 중 고독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남성 1.3~1.6%, 여성 0.3~0.4%로 모든 지표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고독사에 취약한 것으로 확인됐다.

연령별로는 50~60대가 위험했다. 전체 고독사 중 20~30대 비중이 6.3~8.4%인 반면 50~60대는 매년 52.8~60.1%를 차지했다. 지난해에는 고독사 사망자 중 50대 남성(26.6%)과 60대 남성(25.5%)이 절반 이상(52.1%)이었다.

이와 관련해 서울대행복연구센터와 KB금융경영연구소는 “(50~60대 남성은) 건강관리와 가사 노동에 익숙치 못하고 실직·이혼 등으로 삶의 만족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연령대”라고 진단한 바 있다.

고독사 중 자살 사망이 차지하는 비중은 20대(56.6%), 30대( 40.2%), 40대(2 6.0%)가 컸다. 반면 50대(16 .9%), 60대(10.7%)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중년 세대는 극단적 선택보다 지병 등으로 쓸쓸하게 홀로 죽음을 맞는 이들이 더 많다는 의미다.

고독사가 많이 발생한 장소는 주택, 아파트, 원룸 순으로 특히 주택에서 발생한 고독사가 매년 절반 이상(50.3~65.0%)을 차지했다. 복지부는 “고독사 위험군 발굴을 위해 다세대 주택 밀집 지역 중심의 예방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최근 5년간 고독사가 가장 많이 발생한 지역은 경기(3185명), 서울(2748명), 부산(1408명) 순이었다. 연평균 증가율이 전국 평균(8.8%)보다 높은 지역은 서울·부산·대구·인천·대전·강원·전남·경북·제주였다.
이현정 기자
2022-12-15 9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