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유위니아 계열사 3곳 부도처리…광주시 대책 마련 비상

대유위니아 계열사 3곳 부도처리…광주시 대책 마련 비상

서미애 기자
서미애 기자
입력 2023-10-12 15:19
수정 2023-10-12 15: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가전 3개사 임금체불 500억원대 근로자 생계 위협 받아
450여곳 협력업체 1000억원대 납품대금 못받아 발동동
어음만기 도래, 1∼3차 협력업체 수백 곳 연쇄도산 위기
광주시, 기업자금지원 50억 긴급투입·광주신보 특례보증

이미지 확대
광주시와 상공 단체, 금융기관들은 대유위니아 협력업체들의 자금 경색 같은 ‘발등의 불’을 끌 수 있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
광주시와 상공 단체, 금융기관들은 대유위니아 협력업체들의 자금 경색 같은 ‘발등의 불’을 끌 수 있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
광주광역시에 본사를 둔 대유위니아그룹 계열사 3곳이 잇따라 법정관리를 신청해 협력업체들이 줄도산 위기에 놓이고 지역 경제가 휘청거리고 있다.

광주시와 상공 단체, 금융기관들은 협력업체들의 자금 경색 같은 ‘발등의 불’을 끌 수 있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12일 광주시와 광주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지난달부터 차례로 법정관리를 신청한 위니아전자(옛 위니아대우), 통신장비 업체 대유플러스, 위니아(옛 위니아담채) 등 대유위니아그룹 계열사는 모두 광주 광산구에 본사나 공장을 두고 있다.

대유플러스와 위니아전자, 위니아 가전 3사의 체불 임금은 500억 원이 넘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일부 계열사에선 임금 체불이 1년을 넘었고 협력업체들도 대금을 받지 못해 자금난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지난달 20일 가장 먼저 법정관리를 신청한 위니아전자와 그 자회사 위니아전자 매뉴팩처링에서는 직원들이 1년 가까이 출근하지 않고 있고 임금도 지난해 8월부터 밀려있다.

임금체불이 길어지며 생계 위협을 받고 있는 노동자들은 우울증까지 호소하고 있다.

광주지역 위니아의 협력업체는1차 협력사 150곳과 2·3차 협력사 300여곳 등 450여 곳이다. 특히 1차 협력업체들 대부분은 수십억 원의 대금을 지급받지 못하고 있다. 1차 협력업체들의 자금 경색이 계속되면 2,3차 협력업체들까지 피해를 입게 돼 광주지역 경제 전체가 휘청거릴 위험성이 있다.

박재덕 위니아 협력업체 대표는 “어음이 만기가 돼 1차 협력업체(1차밴드)들은 막은 걸로 알고 있다. 그러나 곧 들이닥칠 금융권의 어음을 못 막게 되면 모두 부도날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대유위니아 그룹 계열사가 잇따라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협력업체들의 자금난도 가중되고 있다.

위니아 협력업체 관계자들은 최근 광주시청 앞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어음 결제를 포함해 총 1000억원이 넘는 납품 대금을 받지 못했다”고 주장하며 금융권, 정부, 지자체의 긴급 금융 지원을 요청했다.

한편 지역 기업 지원 기관들은 지난 11일 광주시청에서 모여 위기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광주시를 비롯해 기업은행·산업은행·광주은행·하나은행·신한은행 등 금융기관, 광주·전남중소벤처기업청,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광주지역본부, 광주 신용보증기금·광주테크노파크 관계자들도 함께 했다.

지역 협력업체들은 만기일이 다가오는 할인 전자어음을 대출로 전환해 줄 것을 금융권에 최우선으로 요청했다.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에는 보증과 융자금 만기 연장을 건의했다.

광주시는 정확한 피해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중소벤처기업부에 그룹사별 협력업체와 지급액에 관한 자료를 요청하고 중소기업 특별지원지역 지정도 검토해 줄 것을 요청했다.

또 법원에 지역 경제를 고려해 기업에 회생의 기회를 달라는 내용의 의견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광주시는 기업지원 정책자금 50억원을 긴급 지원하고, 광주신용보증재단 특례 보증도 시행할 방침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