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턴의 사과’ 대전에 열린다

‘뉴턴의 사과’ 대전에 열린다

입력 2011-08-09 00:00
업데이트 2011-08-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만유인력 발견한 나무 4대 후손 한국표준硏 포함 12곳 주렁주렁

이미지 확대
1665년 영국 링컨셔 근처 켄싱턴의 한 작은 마을. 20대 초반의 청년 아이작 뉴턴은 집 앞의 사과나무 아래에서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목격했다. “왜 사과는 밑으로 떨어지는 것일까.” 남들은 너무나 당연하게 여기던 자연 현상에 궁금증을 갖기 시작한 이 천재 과학자는 결국 ‘만유인력의 법칙’을 완성했다. 400년이 훌쩍 넘는 시간이 지났고, 수많은 자연의 법칙이 새로 발견됐지만 오늘날 과학은 여전히 뉴턴이 만들어낸 토대 위에 있다.

지난달 말부터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한국표준연구원 정원에 과학자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정원 한가운데 나무에 주렁주렁 매달린 사과를 지켜보기 위해서였다. 이 사과나무의 이름은 ‘뉴턴의 사과나무’.

뉴턴의 고향과 지구 정반대에 있는 사과나무에 왜 이 같은 이름이 붙었을까. 8일 표준연에 따르면 이 사과나무는 켄싱턴 사과나무의 4대 후손이다. 1726년 영국의 고고학자인 윌리엄 스터클 리는 뉴턴의 집을 방문해 ‘뉴턴의 사과나무’를 발견했다. 이 나무는 1814년 벼락에 맞아 죽었지만 원목에서 자른 가지가 다시 벨턴의 한 정원으로 옮겨졌고, 또다시 접목한 후손이 1943년 미국립표준기술연구원으로 옮겨 심어졌다. 이어 1977년 한국에 표준연이 생기자 미연방표준국이 이 나무를 접목한 3그루를 1978년 기증하면서 한국에서 뉴턴의 사과나무가 자라게 된 것이다.

당초 세 그루 중 현재 살아남은 것은 한 그루에 불과하지만, 매년 여름이면 사과를 주렁주렁 매달고 이곳을 찾은 과학자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지금까지 표준연은 꾸준히 접목을 시도해 카이스트와 과학고, 연구소, 대학 등 국내 11개 기관에 13그루를 분양했다.배재성 표준연 홍보팀장은 “1995년부터 여름마다 사과가 열렸지만 크면서 다 떨어져 버려 맛을 본 사람은 아무도 없다.”면서 “연구소 직원들이 이 나무 자체가 잘 떨어지는 품종이라서 뉴턴이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했다는 얘기도 한다.”고 밝혔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1-08-09 25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