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도 환자가 늘고 있습니다. 암 등 중증질환은 물론 사소한 질병도 마찬가지입니다. 의사들이 말하는 이유는 이렇습니다. “예외적인 질환을 빼고는 질환의 절대유병률이 늘어난다기보다 예전에는 찾아내지 못했던 질환까지 콕콕 집어 찾아내기 때문이다.” 예전에는 검진체계가 부실해 쉽게 찾아내지 못했던 질병들을 지금은 속속들이 찾아낸다는 겁니다. 우수한 장비와 전문화된 인력들이 어지간한 병은 놓치지 않는 세상이 된 거지요. 바람직한 일입니다. 의료 기술과 장비의 발전 추이를 보면 발병으로 이어지지 않은 잠재적 질병까지 낱낱이 찾아내는 세상이 머지않아 도래할 것입니다.
화를 끓이는 사람도 많습니다. “건강검진을 받은 게 불과 몇 달 전인데 진행성 암이라니 말이 됩니까.” 이런 유의 문제 때문입니다. 아니 적지 않은 비용을 지불하고 건강검진을 받았는데 그런 질환조차 잡아내지 못한다면 누가 의료기관을 신뢰하겠습니까. 수검자 입장에서야 당연히 할 수 있는 항변이지요. 의료기관의 무성의한 검진정보 분석, 병원마다 천차만별인 장비나 전문가들의 능력 차이도 원인일 수 있고, 현재의 검진체계에서 불가피하게 놓치는 경우도 없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를 감안하더라도 아쉬움이 남습니다. 생색내기 검진이 문제입니다. 일부 사업체들이 ‘안 하는 것과 다를 게 없는’ 싸구려 검진으로 ‘땜빵’하고 지나가는 것이 문제이지요. 그러나 ‘싼 게 비지떡’이듯 건강은 결코 타협의 대상일 수 없습니다. 그것이 자신의 건강이든 타인의 건강이든 마찬가지입니다. 시민들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불량식품을 유통시키는 것과,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할 개연성을 인정하면서도 부실한 건강검진을 실시하는 게 위험하다는 점에서는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답은 간단합니다. 국민 건강을 위해서라도 이제는 건강검진의 기본 수준을 높여야 할 때입니다. 검진 항목도 늘리고, 항목별 검사체계도 강화해야지요. 부실한 건강검진을 마치 건강의 보증수표인 양 믿는 국민들이 황당하게 병마에 먹히도록 해서는 안 되기 때문입니다. 그 일을 누가 하느냐고요. 당연히 정부가 먼저 나서야지요.
jeshim@seoul.co.kr
화를 끓이는 사람도 많습니다. “건강검진을 받은 게 불과 몇 달 전인데 진행성 암이라니 말이 됩니까.” 이런 유의 문제 때문입니다. 아니 적지 않은 비용을 지불하고 건강검진을 받았는데 그런 질환조차 잡아내지 못한다면 누가 의료기관을 신뢰하겠습니까. 수검자 입장에서야 당연히 할 수 있는 항변이지요. 의료기관의 무성의한 검진정보 분석, 병원마다 천차만별인 장비나 전문가들의 능력 차이도 원인일 수 있고, 현재의 검진체계에서 불가피하게 놓치는 경우도 없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를 감안하더라도 아쉬움이 남습니다. 생색내기 검진이 문제입니다. 일부 사업체들이 ‘안 하는 것과 다를 게 없는’ 싸구려 검진으로 ‘땜빵’하고 지나가는 것이 문제이지요. 그러나 ‘싼 게 비지떡’이듯 건강은 결코 타협의 대상일 수 없습니다. 그것이 자신의 건강이든 타인의 건강이든 마찬가지입니다. 시민들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불량식품을 유통시키는 것과,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할 개연성을 인정하면서도 부실한 건강검진을 실시하는 게 위험하다는 점에서는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답은 간단합니다. 국민 건강을 위해서라도 이제는 건강검진의 기본 수준을 높여야 할 때입니다. 검진 항목도 늘리고, 항목별 검사체계도 강화해야지요. 부실한 건강검진을 마치 건강의 보증수표인 양 믿는 국민들이 황당하게 병마에 먹히도록 해서는 안 되기 때문입니다. 그 일을 누가 하느냐고요. 당연히 정부가 먼저 나서야지요.
jeshim@seoul.co.kr
2013-01-14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