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립·은둔 청소년 5명 중 3명 “죽고 싶다고 생각”

고립·은둔 청소년 5명 중 3명 “죽고 싶다고 생각”

유승혁 기자
유승혁 기자
입력 2025-03-25 13:57
수정 2025-03-25 13: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9~24세 고립·은둔 청소년 첫 실태조사
10명 중 7명 “고립에서 벗어나고 싶다”
이들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4.76점

이미지 확대
고립·은둔 이미지. 픽사베이 제공
고립·은둔 이미지. 픽사베이 제공


좀처럼 집 밖을 나가지 않고 사회와 단절된 채 살아가는 고립·은둔 청소년 5명 중 3명은 ‘죽고 싶다’고 생각한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10명 중 7명은 현재 상태에서 벗어나고 싶어 했다.

여성가족부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25일 이런 내용의 ‘2024 고립·은둔 청소년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9~24세 고립·은둔 청소년에 대한 전국적인 조사가 이뤄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여가부는 1·2차 조사를 거쳐 고립·은둔 청소년을 선별해 조사했다. 1차에는 청소년 1만 9160명이, 2차 조사에는 2139명이 응답을 완료했다.

이들의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4.76점이었다. 고립·은둔에 해당하지 않는 청소년(7.35점)보다 현저히 낮았다. 고립·은둔 이유로는 ‘친구 등 대인관계 어려움’이 65.5%로 가장 많았다. 이어 ‘공부·학업 관련 어려움’(48.1%), ‘진로·직업 관련’(36.8%) 순이었다.

고립·은둔 청소년의 62.5%는 ‘죽고 싶다고 생각한 적 있다’고 답했다. 자기 신체 건강이 안 좋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48.9%, 정신건강이 안 좋다고 생각한 경우가 60.6%였다. 10명 중 7명(68.8%)은 지난 7일간 다른 사람이 나를 어떻게 생각할까 걱정했고, 10명 중 6명(63.1%)은 ‘미래에 대한 희망이 없다’고 답했다. 규칙적으로 식사하는 이들은 25.5%에 불과했고 밤낮이 바뀐 생활을 한다는 이들은 56.7%로 절반을 넘었다.

고립된 생활에서 벗어나길 원하는 이들이 많았다. 10명 중 7명(71.7%)은 ‘현재 생활을 벗어나고 싶다’고 느꼈으며 55.8%는 ‘고립·은둔 생활을 벗어나려 시도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주로 ‘일이나 공부를 시작했음’(52.6%), ‘취미활동을 했음’(50.6%) 등의 노력을 했다. 하지만 이런 노력에도 10명 중 4명(39.7%)은 다시 고립·은둔 상태로 돌아갔다.

재고립·은둔 이유는 ‘힘들고 지쳐서’가 30.7%로 가장 많았다. ‘고립·은둔하게 된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서’(20.9%), ‘돈이나 시간 등이 부족해서’(17.4%), ‘고립·은둔 생활을 벗어나는 데 효과가 없어서’(12.6%)가 뒤를 이었다. 고립·은둔 기간에 주로 한 활동은 ‘유튜브나 넷플릭스 등 시청’이 59.5%로 가장 많았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