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반 중심 선수 빠지자 조직력 ‘와르르’
말 그대로 ‘다잡은 승리’였다. 하지만 2골차 리드를 지키지 못하고 여전히 부실함을 드러낸 수비조직력이 끝내 역전패의 빌미가 됐다.신태용 감독이 이끄는 한국 올림픽 축구 대표팀은 30일(한국시간) 카타르 도하의 레퀴야 스타디움에서 열린 일본과 2016 아시아축구연맹(AFC) U-23 챔피언십 결승에서 ‘숙적’ 일본에 2-3으로 역전패를 당하고 우승 트로피를 내줬다.
전반전은 물론 첫 실점 직전까지 한국은 일본을 완벽하게 제압했다. 최전방 공격진들의 적극적인 수비 가담은 물론 중원에서의 강력한 압박을 통해 일본을 완벽하게 질식시키는 듯했다.
빠른 시간대인 전반 20분 만에 권창훈(수원)의 선제골이 터졌고, 일본이 의욕을 다지고 나선 후반 2분 만에 진성욱(인천)의 추가골이 터뜨리며 사실상 승리를 다잡은 것이나 다름없는 분위기였다.
하지만 첫 실점 뒤 튼튼했던 조직력은 순식간에 흔들렸다.
후반 22분 역습 상황에서 일본의 아사노 다쿠마에게 추격골을 허용할 때까지만 해도 충분히 지켜낼 수 있었던 승리로 보였다.
그러나 1분 뒤 또다시 역습을 허용하며 야지마 신야에게 허무하게 ‘노마킹’ 헤딩 슈팅으로 동점골을 내준 뒤 한국의 수비조직력은 급격하게 무너졌다.
잇달아 실점을 한 뒤 한국은 강했던 전방 압박이 순식간에 해체됐다.
이 때문에 허리가 강한 일본은 최전방으로 뛰어드는 공격수를 향해 정확한 롱패스를 잇달아 시도했고, 한국 수비진은 수비 복귀가 제대로 되지 않아 중앙 수비수 두 명이 힘겹게 일본 공격수와 일대일로 다투는 상황이 계속 벌어졌다.
결국 한국은 후반 36분 첫 번째 실점 장면과 똑같은 상황에서 역전 결승골을 얻어맞고 무너졌다.
신태용호의 이런 모습은 지난 23일 요르단과 8강전 후반전에도 드러난 바 있다.
당시 전반 23분 만에 터진 문창진의 결승골이 아니었다면 올림픽 본선 진출도 위험했을 뻔했다.
이날 연속 실점 상황도 당시와 비슷했다.
한국은 요르단을 상대로 황희찬(잘츠부르크)이 후반에 부상으로 빠지자 급격하게 공격은 물론 수비조직력까지 흔들렸다.
이날 일본전 역시 공격 지원과 수비 작업의 첨병 역할을 담당한 이창민(제주)이 후반 33분 다리 근육 통증 때문에 교체되자 수비 조직력은 와해 조짐을 보였다. 결국 이창민이 빠져나간 중원에서 침투패스를 허용한 한국은 역전골을 얻어맞았다.
결국 신태용호의 가장 큰 약점은 공격이나 수비에서 중심이 됐던 선수가 빠진 뒤 급격하게 조직력이 흔들리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반전부터 짜임새 있게 전개된 전술이 교체 선수 때문에 흔들리는 ‘2% 부족한 조직력’은 올림픽 본선 무대를 준비하는 신태용 감독으로서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숙제로 남게 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