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잣집·비닐하우스·공사장 등 거주자 25만여명

판잣집·비닐하우스·공사장 등 거주자 25만여명

입력 2011-07-09 00:00
업데이트 2011-07-10 1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택보급률이 100%를 넘었지만 판잣집이나 비닐하우스, 공사장 임시막사, 상가, 찜질방, 움막 등에 살고 있는 사람이 25만6천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통계청이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집계한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거처의 종류가 ‘판잣집과 비닐하우스’인 가구는 1만6천880가구이며 가구원은 3만8천967명으로 집계됐다.

또 거처의 종류가 ‘기타’로 분류된 가구는 9만6천824가구로 가구원은 21만6천863명에 달했다.

기타는 주택 이외의 거처 가운데 오피스텔과 숙박업소, 기숙사, 특수사회시설, 판잣집, 비닐하우스가 아닌 곳으로 공사장 임시막사와 사찰, 교회, 상가, 찜질방, 움막, 노숙 등이다.

이에 따라 전국의 25만5천830명은 집이라고 할 수 없는 열악한 주거환경에 놓여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 판잣집과 비닐하우스에 사는 인구를 보면 경기가 1만8천264명(7천378가구)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은 7천954명(3천711가구)에 달했다.

이어 경남(2천144명, 923가구)과 부산(2천103명, 905가구), 충남(1천327명, 566가구), 경북(1천281명, 650가구), 인천(1천177명, 566가구) 등도 1천명이 넘었다.

기타는 서울이 7만7천93명(3만9천426가구)으로 가장 많았으며 경기 5만2천274명(2만2천731가구), 경북 1만4천624명(3천618가구), 경남 1만1천738명(3천506가구), 충남 1만692명(5천136가구), 부산 1만509명(4천649가구) 등이 뒤를 이었다.

이밖에 여관 등 숙박업소의 객실이 거주지인 가구는 1만5천830가구로 가구원은 2만5천371명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외국인도 적지 않았다. 판잣집과 비닐하우스에 사는 외국인은 768명(379가구)이며 기타 1만3천794명(7천843가구), 숙박업소 2천211명(1천540가구) 등으로 집계됐다.

아울러 거주층별로 보면 지하(반지하 포함)에 사는 가구는 51만8천가구, 옥탑방은 4만9천가구에 달했다.

주택 수를 일반가구 수로 나눈 값인 주택보급률은 2005~2007년에 각각 98.3%, 99.2%, 99.6%였으나 2008년 100.7%로 100%선을 넘어섰고 2009년 101.2%, 지난해 101.9%로 올라섰다.

































































































































































































































판잣집.비닐하우스기타*
가구가구원(명)가구가구원(명)
전국16,88038,96796,824216,863
서울3,7117,95439,42677,093
부산9052,1034,64910,509
대구2094302,6565,541
인천5661,1772,7706,571
광주1152721,0073,459
대전1533311,7493,227
울산2034315212,033
경기7,37818,26422,73152,274
강원4458531,5923,407
충북3116861,5383,505
충남5661,3275,13610,692
전북3046912,2105,095
전남3136993,0345,616
경북6501,2813,61814,624
경남9232,1443,50611,738
제주1283246811,479


※기타의 종류 : 공사장 임시막사 등 가건물, 사찰, 교회, 상가(식당 등) 내 거주, 찜질방, 움막, 노숙 등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