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수급 내주 월∼수 최대고비 맞는다

전력수급 내주 월∼수 최대고비 맞는다

입력 2013-08-09 00:00
업데이트 2013-08-09 16: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그 이후엔 광복절·샌드위치데이로 ‘숨통’

예상대로 8월 셋째 주 초반인 12∼14일 올여름 전력수급의 최대 위기가 찾아올 것으로 보인다.

9일까지 올여름 전력수급경보는 모두 22차례 내려졌다. 그중 두 번은 예비력이 400만㎾ 아래로 떨어진 ‘관심’ 단계였다.

조정만 전력거래소 중앙관제센터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다음 주 월요일 서울 기준으로 낮 최고기온이 34도, 화·수요일 33도까지 올라가면서 올여름 전력수급의 최대 고비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지난 7∼8일 의무절전업체와 발전소, 전력거래소를 잇따라 방문한 자리에서 “다음 주 수요일까지 전력수급 1차 고비가 찾아올 것으로 예상된다”며 국민과 기업의 절전 동참을 호소했다.

전력 당국은 이번 주 최대 650만㎾에 이를 정도로 엄청난 규모의 수급 비상수단을 동원했다.

수요 면에서는 절전규제로 270만∼280만㎾, 산업체 조업조정으로 150만㎾ 안팎, 주간예고 수요관리로 50만㎾ 안팎, 선택형 피크요금제(10만㎾), 전압하향조정(30만㎾) 등이다.

공급 면에서는 민간자가발전(30만∼40만㎾), 화력발전 시운전 출력반영(39만㎾) 등이다.

그럼에도 9일 오후 1시40분께 순간 예비전력이 350만㎾ 아래로 떨어지며 아찔한 순간을 경험했다.

만일 비상수급 수단을 동원하지 않았다면 수요가 공급을 200만㎾까지 초과해 꼼짝없이 ‘예비력 마이너스’ 상황이 될 수밖에 없었다.

공공기관 자율단전이나 사전약정에 의한 민간기업 부분단전이 불가피할 수도 있는 상황이다.

한전은 예비력이 마이너스 147만㎾까지 떨어지는 수급비상 단계를 예측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애초 전력 당국에서는 8월 둘째 주에 예비력이 마이너스 103만㎾, 셋째 주에는 플러스 17만㎾로 예측했다.

공급능력은 7천760만∼7천790만㎾로 더 추가할 여지가 거의 없다. 마른 수건을 짜는 꼴이다. 공급은 가동 가능한 모든 발전원을 전부 더했을 때 최대치가 7천817만㎾ 정도다.

부품 시험성적서 위조로 제어케이블 교체 중인 원전 3기와 장기 정비 중인 일부 원전을 제외하고는 원전을 풀가동하고 있다. 화력, 복합발전 등도 가릴 것 없이 98∼99% 출력을 내고 있다.

결국 해법은 수요관리밖에 없는 상황이다.

최대 수요는 7천870만㎾까지 치솟게 돼 있지만 이중 480만㎾를 줄여야 한다. 그래야만 예비전력 400만㎾대(수급경보 준비 단계)를 간신히 유지할 수 있다.

계약전력 5천㎾ 이상 다소비업체 2천637곳의 의무절전(3∼15%) 참여가 다음 주에는 더 절실한 상황이다. 산업체 휴가분산은 한전과 약정을 체결해 시행되고 있지만 8월 셋째 주에는 아무래도 복귀하는 인력이 그 전주보다는 많아진다.

또 기상청 주간예보로는 서울과 수도권도 다음 주 초반까지는 전혀 비 소식이 없는 데다 섭씨 33도 이상의 폭염과 최저기온 25도 이상의 열대야가 사나흘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미 35도 이상 수은주가 치솟은 남부지방도 기록적인 폭염이 계속될 전망이다.

전력 당국은 내주 초에 절전규제 등 가능한 수요관리를 최대한도로 시행한다는 전략을 짜놓고 현장 인력도 급파할 예정이다.

전력 당국 관계자는 “일단 다음 주 수요일까지만 버티면 목요일은 광복절로 휴일이고, 그 다음 날은 주말을 앞둔 샌드위치 데이라서 어느 정도 숨통을 틔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