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한도 증액 실패 시는 디폴트…세계 경기 뒤집힐 것”
미국 양적완화 논란의 고비를 넘고 있는 금융시장이 이번에는 미국 연방정부의 일시적 업무 정지(셧다운)의 벽을 만났다.미국·유럽을 비롯한 세계 주요국 증시는 단기간 충격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많은 시장 전문가가 장기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금융기관 전문가들과 기관 투자자들 대다수가 과거 업무정지 기간에도 충격이 크지 않았다는 점을 상기하고 있으며, 이번 사태에 따라 고객에게 자산을 현금화하거나 안전자산으로 갈아타라고 권하는 이는 소수에 불과하다고 전했다.
에릭 스타인 이턴밴스 글로벌인컴그룹 공동 책임자는 “단기 시장 움직임은 있겠지만 시장은 워싱턴발(發) 넌센스에 점점 면역이 생기는 중”이라고 꼬집었다.
한국 증시 분석가들 역시 미국 정부가 일시 정지되더라도 군사와 복지 기능은 살아 있고 국내 기업들의 실적과 경기 개선에 대한 기대감도 큰 만큼 향후 미칠 장기적 영향은 크지 않다고 분석했다.
우리투자증권에 따르면 과거 17차례에 걸친 미국 정부 업무정지 기간에 미국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지수는 평균 -0.3%(최대 +2.6%. 최소 -4.4%), 한국 코스피지수는 0.2%(최대 +7.1%, 최소 -9.0%)의 등락률을 보였다.
업무정지 지속 기간이 평균인 6일을 넘었을 때 S&P 500지수는 하락한 경우가 더 많았으나, 코스피지수는 오히려 상승한 날이 더 많았다.
이지선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단순 횟수로만 본다면 정부 폐쇄에 따른 주가 상승 또는 하락의 확률은 50대 50이며 주식시장에 대한 영향은 중립적”이라며 “미국 정부 폐쇄가 현실화하더라도 폐쇄 기간은 6일 이하, 코스피 추가 낙폭은 2∼5% 내외일 것”으로 예상했다.
이 증권사의 박성훈 연구원도 “미국 정치 이슈로 인한 불투명성이 국내 증시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금 이탈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며 “이는 하반기 국내 경기 회복과 기업실적 개선에 대한 신뢰감을 높여주는 소식들이 꾸준하게 뒷받침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시장 전문가들은 미국 정계 불안이 장기화해 오는 17일까지 정부 부채 한도 증액마저 실패하면 미국 정부는 채무불이행(디폴트) 사태에 이르게 되므로 상황이 심각해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웨드부시증권의 스티브 매소카는 CNBC에 “사태가 장기화한다면 실질적인 충격이 심해질 수 있다”며 미국 정계의 이번 갈등이 내년 중간 선거와 2016년 대선 등 다음 선거의 전초전일 가능성을 경고했다.
미국이 디폴트에 이르면 이제 겨우 회복 기조에 들어선 미국 경제가 후퇴하는 후폭풍 가능성이 커지며, 역시 미국 양적완화 축소 논란을 딛고 경기 회복을 위해 안간힘을 쓰는 세계 각국의 분위기가 뒤집힐 수 있다.
앞서 2011년에도 미국 정계는 부채 한도 증액 협상으로 갈등을 겪었으며, 당시 협상이 막판에 극적으로 타결됐으나 S&P가 미국 신용등급을 강등하면서 세계 금융시장이 패닉 상태에 빠졌다.
이상재 현대증권 연구원은 “미국 정부 업무 정지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부채 한도 협상마저 결렬돼 미국 국채 디폴트가 발생하면 경기회복세를 반전시키는 중장기 충격파가 된다”며 “미국 재정 이슈는 세계 경기 흐름을 반전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국 경제에 자생력이 있기는 하지만, 미국의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는 그 이외의 지역, 특히 우리 증시처럼 중국 경기의 영향이 큰 지역의 자산이 주목받을 가능성도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박정우 삼성증권 연구원은 “우리 시장은 중국의 영향권 하에 있다는 점에서 미국의 정치적 리스크로 인한 조정은 매수 타이밍”이라며 “이는 정치적 리스크에도 외국인의 매수세가 최근 지속되는 이유”라고 풀이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