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이 지주회사 전환을 공식화했다. 정부가 보유한 우리은행 지분 매각 보다 우리은행의 경쟁력 제고가 우선돼야 한다고 인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우리은행은 20일 “향후 이사회, 금융당국,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등 이해관계자와의 협의를 거쳐 지주회사 전환절차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우리은행 지주사 전환은 예고된 수순이었다. 금융위원회는 이달 14일 공적자금관리위원회 회의를 통해 우리은행의 지주사 전환 안건을 논의했다. 이를 통해 예금보험공사의 잔여지분(18.4%) 매각은 지주사 전환 뒤로 미뤘다.
우리은행은 그동안 시중은행 중 유일한 비금융지주체제로서 비은행 및 글로벌 확대 제약 등 시장경쟁에 불리했다.
우리은행은 내부적으로 지주체제 전환 시 이같은 약점이 보완된다고 예상한다. 우선 출자 한도 증가로 인해 비은행 사업 포트폴리오의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고객 맞춤형 ‘One-stop 종합자산관리서비스’ 제공, 통합 고객관리, 계열사 연계서비스도 시작할 계획을 세웠다.
손태승 우리은행장은 지난해 11월 취임사와 올해 신년사에서 지주사 전환 필요성을 강조했다. 당시 손 행장은 “올해는 지주사 전환 최적기”라며 “1위 종합금융그룹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지주사 체제로의 전환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지주체제 전환 시 증권, 자산운용, 부동산신탁 등 수익성 높은 다양한 업종에 진출해 자본 효율성 제고와 기업가치 상승이 기대된다”며 “앞으로 지주회사 전환을 위해서는 이사회 승인, 금융당국의 인가, 주주총회 승인 등 절차가 남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내년 초 출범을 목표로 지주회사 설립을 신속하게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21일 금융위에서 우리은행의 매각방안을 발표한 가운데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사 앞에 깃발이 바람에 날리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우리은행 지주사 전환은 예고된 수순이었다. 금융위원회는 이달 14일 공적자금관리위원회 회의를 통해 우리은행의 지주사 전환 안건을 논의했다. 이를 통해 예금보험공사의 잔여지분(18.4%) 매각은 지주사 전환 뒤로 미뤘다.
우리은행은 그동안 시중은행 중 유일한 비금융지주체제로서 비은행 및 글로벌 확대 제약 등 시장경쟁에 불리했다.
우리은행은 내부적으로 지주체제 전환 시 이같은 약점이 보완된다고 예상한다. 우선 출자 한도 증가로 인해 비은행 사업 포트폴리오의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고객 맞춤형 ‘One-stop 종합자산관리서비스’ 제공, 통합 고객관리, 계열사 연계서비스도 시작할 계획을 세웠다.
손태승 우리은행장은 지난해 11월 취임사와 올해 신년사에서 지주사 전환 필요성을 강조했다. 당시 손 행장은 “올해는 지주사 전환 최적기”라며 “1위 종합금융그룹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지주사 체제로의 전환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지주체제 전환 시 증권, 자산운용, 부동산신탁 등 수익성 높은 다양한 업종에 진출해 자본 효율성 제고와 기업가치 상승이 기대된다”며 “앞으로 지주회사 전환을 위해서는 이사회 승인, 금융당국의 인가, 주주총회 승인 등 절차가 남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내년 초 출범을 목표로 지주회사 설립을 신속하게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