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여기] 박완서와 커피/윤창수 문화부 기자

[지금&여기] 박완서와 커피/윤창수 문화부 기자

입력 2011-07-09 00:00
업데이트 2011-07-09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윤창수 경제부 기자
윤창수 경제부 기자
소설가 고(故) 박완서 선생이 생전에 요즘 젊은 작가들은 나무나 풀 이름을 너무 모른다고 한탄한 적이 있다고 한다. 그러자 한 젊은 작가가 “우리가 식물 이름을 잘 모르는 건 사실이지만 대신 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 모카, 바닐라 라테 등 기성 작가들이 아는 나무 이름만큼 다양한 종류의 커피 이름을 안다.”고 반박했단다.

최근 유명 문학상을 받은 20대 작가는 “기성세대들은 전쟁, 가난, 민주화 운동 등 극한 경험을 토대로 문학 작품을 만들어냈다. 당신은 어떤 충격적인 경험을 한 적이 있는가?”란 질문에 “전쟁을 겪어본 적이 없다는 것을 부정적 또는 긍정적 의미로 판단하기는 아직 이르다. 오히려 어르신과 젊은이가 공존하는 다양한 이야기가 나올 수 있다.”고 답했다.

올해로 35회를 맞은 ‘오늘의 작가상’을 보면 당대의 젊은 작가들이 어떤 고민을 했는지 시대의 흐름이 여실히 나타난다. 1회 수상작은 유랑 곡예단을 그린 한수산의 ‘부초’, 2회는 베트남전을 다룬 박영한의 ‘머나먼 쏭바강’, 3회는 종교에 대해 묵직한 질문을 던지는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이었다. 최근 몇년간 수상작은 ‘백수생활백서’, ‘걸프렌즈’, ‘마이 짝퉁 라이프’ 등 제목만으로도 알 수 있듯 젊은이들의 생활상을 유쾌 발랄하게 표현한 작품이었다.

문학상 수상작의 경향만을 놓고 요즘 젊은이들의 고민의 무게가 가볍다고 단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기성세대들은 항상 사시 눈으로 젊은이들을 바라봤고, 최근에는 이런 경향을 뒤엎은 김난도 교수의 책 ‘아프니까 청춘이다’가 22주간 장기 베스트셀러 1위를 지키며 공감을 얻고 있다.

다시 박 선생의 이야기로 돌아가면, 그가 등단한 다음해인 1971년 발표한 ‘코 고는 소리를 들으며’란 수필에 “요바닥에 엎드려 코 고는 소리를 들으며 뭔가 쓰는 일은 분수에 맞는 옷처럼 나에게 편하다.”라며 겸양하는 대목이 있다. 그는 바람대로 ‘수다스럽지도, 과묵하지도 않은 이야기꾼’으로 살다 갔다. 오늘의 이야기꾼이 어제의 이야기꾼보다 더 나은 이야기를 들려주기를 바란다.

geo@seoul.co.kr
2011-07-09 26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