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지안(集安)의 가을/이도운 논설위원

[씨줄날줄] 지안(集安)의 가을/이도운 논설위원

입력 2011-10-25 00:00
업데이트 2011-10-25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25년 동안 고구려의 도읍이었던 국내성(현 지명 지안)은 동, 서, 북이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였다. 대국의 수도가 대부분 사방 만리의 평지에 건설됐던 것에 비하면 다소 의외의 지형이었다.

지난 10월 18일 오전 10시. 지안의 가을은 봄처럼 따뜻하고 고향처럼 편안했다. 하루 전 백두산에서 살을 에는 듯한 강추위를 겪고 온 탓도 있었을 것이다. 광개토대왕비는 지안 동북부의 얕은 둔덕에 자리잡고 있었다. 장엄한 역사를 온몸에 새기고 1500년의 풍상을 견뎌낸 돌기둥은 이제 초라한 비각 속에 갇혀 있었다. 중국 정부에서 임명하는 별 다섯개짜리 가이드들이 관광객들을 상대로 중국이 해석하는 고구려의 역사를 설명하고 있었다. 광개토대왕비에서 200m 떨어진 곳에 대왕의 능이 자리잡고 있다. 오랜 세월 방치돼 허물어져 가는 돌무덤에서 옛날 동북아를 호령하던 영웅의 기상을 짐짓 엿볼 수 있을 뿐이다. 광개토대왕비와 능에서 다시 동북 방향으로 1㎞쯤 떨어진 곳에 있는 장군총까지 관람한 뒤 기념품 센터로 들어갔다. 조선족 여인들이 광개토대왕비의 탁본과 모형품 등을 팔고 있었다. 고구려의 역사를 소개하는 책자도 10권이 넘었다. 함께 갔던 동북아역사재단의 홍면기 박사는 “저자들이 모두 동북공정의 주인공들”이라고 설명했다. 머지않아 동북공정의 결과가 중국 역사 교과서에 반영된다고 해도 놀랄 일이 아닐 것이다.

지안의 남쪽으로는 압록강이 흐르고 있다. 그 너머가 바로 북한이다. 모터 보트를 타고 압록강으로 들어갔다. 강은 북한과 중국의 공동관리지역이다. 북한 쪽으로 가까이 가도 문제가 없었다. 압록강과 잇닿은 중국 지역은 평지고, 북한 지역은 곧바로 산이다. 원래 그랬던 것이 아니다. 중국 측에서 댐을 쌓아 물길을 북한 쪽으로 돌렸다고 한다. 북한 쪽 산 중턱에 난 도로에 자전거를 타고 지나가는 주민들이 보였다. 손을 흔들었더니 똑같이 손을 흔들며 화답한다. 그들은 우리 일행이 중국인이 아니라는 것을 알 것이다. 도로 아래로는 50~100m마다 국경을 감시하는 북한군의 초소가 보였다. 북한 쪽 산은 예외 없이 민둥산이다. 더 이상 벗겨 먹을 산도 없는 듯하다. 산 하나에 거대한 굴뚝이 솟아 있었다. 구리 제련공장이었다. 중국에서 전기를 끌어와 공장을 가동하고, 생산된 구리는 중국으로 수출한단다. 지안에는 고구려의 역사만 있는 것이 아니었다. 동북아 정세의 현재와 미래도 그 안에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이도운 논설위원 dawn@seoul.co.kr

2011-10-25 31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