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기도 용인의 한 농가에서 사육하던 반달가슴곰 2마리가 탈출하여 소동이 벌어졌다. 언론에서는 똑같은 반달가슴곰인데 복원용이냐 사육용이냐에 따라 운명이 다르다며 사육곰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10여년 전 우리나라 고유종인 반달가슴곰은 거의 멸종에 가까웠다. 국내 반달가슴곰의 고유 혈통인 우수리 아종을 북한과 러시아 등에서 도입해 복원한 결과, 현재 지리산에 방사된 반달가슴곰은 27마리까지 늘었다. 그러나 반달가슴곰이 야생에서 스스로 생존할 수 있는 최소 존속 개체군인 50마리에 이르기까지는 아직도 갈 길이 멀다.
곰 사육은 반달가슴곰 복원보다 훨씬 먼저 시작됐다. 1980년대 초 일본과 타이완 등에서 농가소득 증대를 목적으로 반달가슴곰을 수입하였다. 국내 고유종과는 유전적으로 차이가 있어 복원을 위한 개체로 활용하기에는 부적합한 종이었지만 사육한 후 재수출만 했더라도 지금처럼 문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었다. 하지만 웅담 채취 등 동물학대가 국내외에서 문제가 되면서 1985년 곧바로 수입을 금지시켰다. 설상가상으로 1993년 7월 우리나라가 CITES(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에 가입함으로써 곰의 재수출도 전면 금지됐다.
상황이 이렇듯이 한치 앞도 내다보지 못하고 단지 농가소득 증대만을 목적으로 곰 수입을 장려한 정부나, 그렇다고 정부 정책만을 믿고 가축도 아닌 동물을 상업적 목적만을 이유로 수입해 사육한 농가도 일말의 책임이 있다. 사육 곰에 대한 문제의 심각성이 드러났는데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10년 넘게 해결되지 않고 있는 것은 서로의 입장차가 다르기 때문이다.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위해서는 더 이상 자기 주장만 내세우지 말고 서로 조금씩 양보해서 공통의 합의점을 찾아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영원히 평행선을 달릴 수밖에 없을 것이다. 사회의 어느 분야도 일방적인 요구와 일방적인 해결책은 기대하기 어렵다. 오해를 이해로, 부정을 긍정으로 바꾸어 주는 소통, 역지사지 차원에서 이해 당사자 간 상대방의 마음을 헤아리는 아량이 필요한 때이다.
때마침 정부에서도 ‘사육 곰 종합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시작이 반이라고, 늦은 감이 있지만 이제는 누구의 주장이 옳고 그름을 떠나서 사육 곰 농가, 동물보호단체, 정부의 관련부처 등 이해 관계자들이 서로 머리를 맞대고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야 할 때이다.
사육 곰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하려고 하는 것은 경제적·물리적으로 무리가 있으므로 단계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인 우리나라에서 개인의 곰 사육 문제로 국제적 지탄을 받는 것은 나라 망신이 아닐 수 없다. 더 이상 망신을 당하기 전에 하루속히 솔로몬의 지혜를 발휘하여 해결책을 마련하길 기대한다.
가까운 중국이나 일본에서 추진하고 있는 민간인 주도의 곰 재단 운영, 곰 공원 조성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아울러 곰 사육 농가에서도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많은 것은 알지만 정부의 해결책이 마련될 때까지 내 자식처럼 곰을 사랑하고 보살피는 마음으로 관리를 해 주기를 바란다. 아무쪼록 여러 사람의 지혜를 모아 슬기롭게 문제가 해결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김종택 강원대학교 수의학 교수
곰 사육은 반달가슴곰 복원보다 훨씬 먼저 시작됐다. 1980년대 초 일본과 타이완 등에서 농가소득 증대를 목적으로 반달가슴곰을 수입하였다. 국내 고유종과는 유전적으로 차이가 있어 복원을 위한 개체로 활용하기에는 부적합한 종이었지만 사육한 후 재수출만 했더라도 지금처럼 문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었다. 하지만 웅담 채취 등 동물학대가 국내외에서 문제가 되면서 1985년 곧바로 수입을 금지시켰다. 설상가상으로 1993년 7월 우리나라가 CITES(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에 가입함으로써 곰의 재수출도 전면 금지됐다.
상황이 이렇듯이 한치 앞도 내다보지 못하고 단지 농가소득 증대만을 목적으로 곰 수입을 장려한 정부나, 그렇다고 정부 정책만을 믿고 가축도 아닌 동물을 상업적 목적만을 이유로 수입해 사육한 농가도 일말의 책임이 있다. 사육 곰에 대한 문제의 심각성이 드러났는데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10년 넘게 해결되지 않고 있는 것은 서로의 입장차가 다르기 때문이다.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위해서는 더 이상 자기 주장만 내세우지 말고 서로 조금씩 양보해서 공통의 합의점을 찾아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영원히 평행선을 달릴 수밖에 없을 것이다. 사회의 어느 분야도 일방적인 요구와 일방적인 해결책은 기대하기 어렵다. 오해를 이해로, 부정을 긍정으로 바꾸어 주는 소통, 역지사지 차원에서 이해 당사자 간 상대방의 마음을 헤아리는 아량이 필요한 때이다.
때마침 정부에서도 ‘사육 곰 종합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시작이 반이라고, 늦은 감이 있지만 이제는 누구의 주장이 옳고 그름을 떠나서 사육 곰 농가, 동물보호단체, 정부의 관련부처 등 이해 관계자들이 서로 머리를 맞대고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야 할 때이다.
사육 곰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하려고 하는 것은 경제적·물리적으로 무리가 있으므로 단계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인 우리나라에서 개인의 곰 사육 문제로 국제적 지탄을 받는 것은 나라 망신이 아닐 수 없다. 더 이상 망신을 당하기 전에 하루속히 솔로몬의 지혜를 발휘하여 해결책을 마련하길 기대한다.
가까운 중국이나 일본에서 추진하고 있는 민간인 주도의 곰 재단 운영, 곰 공원 조성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아울러 곰 사육 농가에서도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많은 것은 알지만 정부의 해결책이 마련될 때까지 내 자식처럼 곰을 사랑하고 보살피는 마음으로 관리를 해 주기를 바란다. 아무쪼록 여러 사람의 지혜를 모아 슬기롭게 문제가 해결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2012-08-2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