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제안 공모전 시상식에서 국방부장관상 우수상을 수상했다.”
어느 매체에 게재된 기사의 일부분이다. 중복 표현이다. 수상이 상을 받다는 뜻이므로 풀이하면 ‘우수상을 상을 받다’가 되기 때문이다. ‘박수를 치다’는 ‘손뼉을 치다’로 써야 한다는 지적을 한 적이 있다. 비슷한 사례다. ‘박’(拍)은 친다는 의미다.
‘역전앞’(역전)은 실생활에서 흔히 나오는 말이다. ‘담임을 맡다’(담임을 하다), ‘따뜻한 온정’(온정), ‘과반수가 넘는’(반수가 넘는) 등도 중복 표현이다. ‘짧은 기간 동안’(짧은 기간에), ‘매시간마다’(시간마다, 매시간), ‘일요일날’(일요일), ‘남은 여생’(여생) 등도 그렇다. ‘해안가’(해안), ‘처갓집’(처가), ‘종갓집’(종가), ‘상갓집’(상가), ‘외갓집’(외가) 등은 표준어로 인정받는다.
sonsj@seoul.co.kr
어느 매체에 게재된 기사의 일부분이다. 중복 표현이다. 수상이 상을 받다는 뜻이므로 풀이하면 ‘우수상을 상을 받다’가 되기 때문이다. ‘박수를 치다’는 ‘손뼉을 치다’로 써야 한다는 지적을 한 적이 있다. 비슷한 사례다. ‘박’(拍)은 친다는 의미다.
‘역전앞’(역전)은 실생활에서 흔히 나오는 말이다. ‘담임을 맡다’(담임을 하다), ‘따뜻한 온정’(온정), ‘과반수가 넘는’(반수가 넘는) 등도 중복 표현이다. ‘짧은 기간 동안’(짧은 기간에), ‘매시간마다’(시간마다, 매시간), ‘일요일날’(일요일), ‘남은 여생’(여생) 등도 그렇다. ‘해안가’(해안), ‘처갓집’(처가), ‘종갓집’(종가), ‘상갓집’(상가), ‘외갓집’(외가) 등은 표준어로 인정받는다.
sonsj@seoul.co.kr
2018-04-1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