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찬희 산업부 선임기자
과식하면 배탈 나듯 기업이 과욕을 부려도 오래가지 못한다. 문어발식 사세 확장으로 감당할 수 없는 부채를 앉거나, 과잉설비투자도 기업을 기울게 한다. 어려움을 겪는 우리나라 조선산업이 여기에 해당한다.
수익을 내지 못하거나 과잉투자로 말미암은 기업의 몰락은 경영자만의 잘못은 아니다. 일시적 자금 경색이나, 갑작스런 국제 환경 변화 때문에 위기에 몰린 것은 기업만의 책임이 아니다. 그래서 국가가 자구책을 마련하기까지 시간적 여유를 주기도 한다. 사회적으로 동정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오너(소유 경영자)의 잘못으로 기업이 흔들리는 때도 있다. ‘갑질’로 대표하는 잘못된 문화 역시 기업을 한순간에 나락으로 떨어뜨릴 수 있는 인적 리스크다.
2~3세 경영자가 늘고 있다. 모두 그렇지는 않겠지만 2~3세 경영자는 도련님, 공주님으로 자랐다. 늘 최고였고, 안하무인이었다. 끼리끼리 인맥을 형성하고, 혼맥으로 그들만의 성을 쌓았다. 사원들은 20년 이상 고생하고 치열한 경쟁에서 이긴 소수만 임원으로 승진하는 데 비해 이들은 입사부터 간부로 들어가 몇 년 안에 임원으로 오르고 회사 대표가 됐다.
그러니 2~3세 오너들이 제대로 된 경영 수업을 받았을 리 만무하다. 땀 흘리고 먼지 마시는 현장 근로자들의 고생을 이해하기보다는 기업을 확장하거나 오너 지분을 확대하는 변칙을 먼저 배웠다. 기업의 사회적 역할은 사치품으로 생각하고, 오너 일가의 재산을 불리는 재테크 수업에 열중했다. 협력업체와의 상생보다는 중소기업이 피땀 흘려 일궈 낸 기술과 판로를 가로채는 기법을 익혔을 것이다.
세계적인 항공사 대한항공의 날개가 크게 흔들리고 있다. 절체절명의 위기를 맞았다. 긴급 회항해 대대적인 정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온전히 오너 경영인들이 갑질을 저지르다가 만들어 낸 인위적인 리스크다.
그런데도 잘못을 인정하고 용서받는 기업 위기관리 능력은 엉망이다. ‘물벼락 갑질’이나 ‘땅콩 회항’에서 나타난 공통점은 위기관리에서 ‘3T’가 빠졌다는 것이다. 바로 사과해야 하는데 변명으로 일관하다가 타이밍(Timing)을 놓쳤다. 용서는 타이밍과 함께 진실(Truth)을 담아야 하는데, 진실까지 빠져 매를 벌었고 국민의 분노를 키웠다. 경영 퇴진과 같은 근본적 사과 없이 구렁이 담 넘어가는 듯한 전술(Tactics)도 국민을 화나게 했다.
2~3세가 소유와 경영을 물려받은 기업은 대부분 국가와 국민이 키운 기업이다. 대한항공만 해도 그렇다. 그들이 쥔 경영권은 갑질을 하라고 주어진 것이 아니다. 기업을 영속적으로 흑자 내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라고 주주들이 맡긴 힘이다. 갑질이야말로 기업의 최대 리스크를 불러온다. 갑질이 기업을 쇠락으로 떨어뜨리는 지름길이라는 것을 오너들이 깨닫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chani@seoul.co.kr
2018-05-0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