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식생활 문화가 바뀌었다. 쌀을 안 먹는다. 2017년 가구 부문 국민 1인당 쌀 소비량은 연간 61.8㎏이다. 1970년에 136.4㎏을 먹었으니 절반 아래로 떨어진 것이다. 소비 급감 탓에 쌀 자급률은 104%나 된다. 하지만 식량 자급률(식용곡물)은 50% 초반대다. 육류 생산을 위한 사료용 곡물을 포함하면 자급률은 23%로 떨어진다. 그런데도 정부는 2017년 농업예산 15조원 중 2조 4000억원을 쌀값을 떠받치는 데 사용했다.
올해는 2018~2022년에 적용하는 쌀 목표가격을 결정해야 한다. 물가상승률만 반영해도 직불금으로 연간 3000억원이 더 필요하다. 그래서 나온 정책이 쌀생산조정제다. 정부는 올해 5만㏊와 내년 5만㏊를 합쳐 10만㏊의 논에 다른 작물을 재배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콩이나 사료용 작물을 심으면 2년간 보조금을 주고, 콩은 전량 수매한다.
4월 말 마감한 올해 쌀생산조정제 신청 면적은 목표의 65%에 그쳤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쌀값 상승 기대감과 기계화, 배수, 판로 여건 미흡으로 신청이 저조했다”고 분석했다. 이건 표면적 현상이다. 김제평야에서 농사를 짓는 농민 두 명의 이야기를 들어 보면 원인과 해법이 바로 나온다.
#벼농사 고수하는 김복동 농부
40필지(1필지는 1200평) 모두 쌀농사를 한다. 9필지만 내 땅이고 나머지는 임대다. 필지당 140만원을 임대료로 선납했다. 작년에는 125만원이었는데 쌀값이 오르니 임대료도 올랐다. 1필지에서 80㎏ 30개씩 모두 1200개를 수확해서 30%는 개인에게 판다. 미질이 좋은 신동진 품종을 심어서 개인에게 팔면 농협 수매가보다 2만원은 더 받는다. 나머지는 농협수매, 중간상 판매, 공공비축미로 처분한다. 올해 쌀 목표가격이 20만원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쌀은 기계화가 잘 돼 있고, 직불금도 오를 텐데 딴 작물을 심을 이유가 없다. 쌀만큼 일하기 편하고 소득 보장이 되는 작물이 없다.
#콩농사 선택한 조경희 농부
23필지 농사를 짓는데 3필지만 내 땅이다. 논값이 1필지에 8000만원이 넘는다. 땅을 살 엄두가 안 나니 20필지 임대료로 연 2800만원이 나간다. 올해 경작 조건이 안 좋은 논 3필지에 콩을 심으려고 한다. 60만원 주고 굴삭기를 불러 논 둘레에 도랑을 파서 땅을 건조시키고 있다. 1필지에서 콩 1000㎏을 수확할 수 있다. ㎏당 4300원에 팔고 보조금을 받으면 필지당 조수입이 520만원 나온다. 벼는 필지당 영농비가 150만원인데 콩은 80만원이면 된다. 벼농사와 비교할 때 소득이 떨어지지 않고 영농 시간도 비슷하다.
벼농사를 짓느라 이앙기와 콤바인은 내 것이 있다. 콩파종기와 콩탈곡기는 따로 구입하지 않으려고 한다. 김제시 봉남면에서 200필지가 쌀생산조정제에 참여했는데 작목반에 파종기와 탈곡기가 2대씩 있다. 작업 일정을 잘 조정하면 내 기계 없이 콩농사를 지을 수 있다.
쌀값을 안정시키고 식량자급률을 높인다는데 정부 정책에 적극 참여해야 하지 않겠나. 다만 새로운 정책이 지속될 것인지에 대한 불안감이 있다. 농협이나 지자체가 두부, 콩나물, 두유, 콩고기 등 콩 가공시설을 만들어서 각종 급식에 납품을 한다면 농민들도 안심하고 콩농사를 계속할 것이다.
#농지 가격이나 임대료의 안정, 쌀 이외 작물의 안정적인 판로 확보. 이런 건 정부가 해결해 줘야 할 몫이 있다. 그래야 식량자급률이 높아진다. 그러니까 콩을 부탁해.
신명식 농업인
4월 말 마감한 올해 쌀생산조정제 신청 면적은 목표의 65%에 그쳤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쌀값 상승 기대감과 기계화, 배수, 판로 여건 미흡으로 신청이 저조했다”고 분석했다. 이건 표면적 현상이다. 김제평야에서 농사를 짓는 농민 두 명의 이야기를 들어 보면 원인과 해법이 바로 나온다.
#벼농사 고수하는 김복동 농부
40필지(1필지는 1200평) 모두 쌀농사를 한다. 9필지만 내 땅이고 나머지는 임대다. 필지당 140만원을 임대료로 선납했다. 작년에는 125만원이었는데 쌀값이 오르니 임대료도 올랐다. 1필지에서 80㎏ 30개씩 모두 1200개를 수확해서 30%는 개인에게 판다. 미질이 좋은 신동진 품종을 심어서 개인에게 팔면 농협 수매가보다 2만원은 더 받는다. 나머지는 농협수매, 중간상 판매, 공공비축미로 처분한다. 올해 쌀 목표가격이 20만원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쌀은 기계화가 잘 돼 있고, 직불금도 오를 텐데 딴 작물을 심을 이유가 없다. 쌀만큼 일하기 편하고 소득 보장이 되는 작물이 없다.
#콩농사 선택한 조경희 농부
23필지 농사를 짓는데 3필지만 내 땅이다. 논값이 1필지에 8000만원이 넘는다. 땅을 살 엄두가 안 나니 20필지 임대료로 연 2800만원이 나간다. 올해 경작 조건이 안 좋은 논 3필지에 콩을 심으려고 한다. 60만원 주고 굴삭기를 불러 논 둘레에 도랑을 파서 땅을 건조시키고 있다. 1필지에서 콩 1000㎏을 수확할 수 있다. ㎏당 4300원에 팔고 보조금을 받으면 필지당 조수입이 520만원 나온다. 벼는 필지당 영농비가 150만원인데 콩은 80만원이면 된다. 벼농사와 비교할 때 소득이 떨어지지 않고 영농 시간도 비슷하다.
벼농사를 짓느라 이앙기와 콤바인은 내 것이 있다. 콩파종기와 콩탈곡기는 따로 구입하지 않으려고 한다. 김제시 봉남면에서 200필지가 쌀생산조정제에 참여했는데 작목반에 파종기와 탈곡기가 2대씩 있다. 작업 일정을 잘 조정하면 내 기계 없이 콩농사를 지을 수 있다.
쌀값을 안정시키고 식량자급률을 높인다는데 정부 정책에 적극 참여해야 하지 않겠나. 다만 새로운 정책이 지속될 것인지에 대한 불안감이 있다. 농협이나 지자체가 두부, 콩나물, 두유, 콩고기 등 콩 가공시설을 만들어서 각종 급식에 납품을 한다면 농민들도 안심하고 콩농사를 계속할 것이다.
#농지 가격이나 임대료의 안정, 쌀 이외 작물의 안정적인 판로 확보. 이런 건 정부가 해결해 줘야 할 몫이 있다. 그래야 식량자급률이 높아진다. 그러니까 콩을 부탁해.
2018-06-18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