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우리말] ‘채’, ‘체’, ‘째’의 쓰임/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채’, ‘체’, ‘째’의 쓰임/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1-04-07 20:52
수정 2021-04-08 03: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비슷한 발음과 형태 때문에 헷갈리는 말들이 꽤 있다. ‘채’와 ‘체’, ‘째’도 빼놓을 수 없는 예에 해당한다. ‘사과를 통째로 먹다’가 맞는지 ‘통채로 먹다’가 맞는지, 띄어쓰기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헷갈리는 게 아주 많다.

먼저 ‘채’를 살펴보자. ‘채’는 ‘이미 있는 상태 그대로’라는 뜻을 나타내며 ‘-ㄴ/은/는 채’의 꼴로 주로 쓰인다. ‘옷을 입은 채로 물에 들어갔다’, ‘노루를 산 채로 잡았다’, ‘벽에 기대앉은 채로 잠이 들었다’ 등과 같이 쓰인다.

‘체’는 ‘그럴듯하게 꾸미는 거짓 태도나 모양’을 뜻한다. ‘보고도 못 본 체 딴전을 부리다’, ‘알지도 못하면서 아는 체는 왜 하니’, ‘모르는 체하며 고개를 돌리다’ 등과 같이 쓰인다. ‘애써 태연한 척을 하다’, ‘못 이기는 척 자리에 앉다’에 쓰인 ‘척’과 동의어다. ‘채’와 마찬가지로 주로 ‘-ㄴ/은/는 체’ 꼴로 쓰이기 때문에 둘을 혼동해 쓰는 경우가 있다. 문법적으로 봤을 때는 둘 다 의존명사이기 때문에 앞말과 띄어서 쓴다.

‘-째’의 경우는 조금 다르다. ‘그대로’, ‘전부’, ‘모조리’라는 뜻으로 의미상으로는 ‘채’와 비슷한 면이 있다. 그러나 앞에 오는 말의 품사와 띄어쓰기에서 차이를 보인다. ‘채’는 의존명사라 동사나 형용사 뒤에서 띄어 쓰는 반면 ‘-째’는 접미사라 명사 뒤에 붙여서 쓴다. 그래서 ‘냄비째 가져오다’, ‘사과를 통째로 먹다’ 등과 같이 쓴다. ‘냄비채’, ‘통채’ 등은 잘못된 표현이다.

oms30@seoul.co.kr
2021-04-0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