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미 성공회대 대우교수·대중예술평론가
가을에 대한 노래는 정말 많다. 그러나 대부분 외로움이나 허무함, 그리움 같은 감정을 토로하는 부근에서 맴돈다. 그런 점에서 이 노래는 늦가을의 노래로 정말 예외적일 정도로 탁월하다.
가을 우체국 앞에서 그대를 기다리다 / 노란 은행잎들이 바람에 날려가고 / 지나는 사람들같이 저 멀리 가는 걸 보네 / 세상에 아름다운 것들이 얼마나 오래 남을까 / 한여름 소나기 쏟아져도 굳세게 버틴 꽃들과 / 지난겨울 눈보라에도 우뚝 서 있는 나무들같이 / 하늘 아래 모든 것이 저 홀로 설 수 있을까 / 가을 우체국 앞에서 그대를 기다리다 / 우연한 생각에 빠져 날 저물도록 몰랐네 - 윤도현 ‘가을 우체국 앞에서’ (1994, 김현성 작사·작곡)
‘이등병의 편지’의 창작자 김현성과 윤도현이 함께했던 포크그룹 종이연에서 처음 발표되었고, 솔로가 된 윤도현이 다시 불러 유명해진 스테디셀러이다. 이 노래도 시작은 사람에 대한 그리움이다. 그대를 기다리는 주인공은 누군가를 향한 교신의 욕망을 보여주는 우체국 앞에 서 있다. 그러나 이 노래는 거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다. 은행잎이 떨어지는 것을 보면서 모든 아름다운 존재들이 모두 소멸할 수밖에 없는 운명임을 생각한다. 그리고 이제 잎을 떨어내 앙상한 가지만 남을 나무들, 심지어 줄기조차 다 사라져버릴 풀꽃들을 생각한다. 이제 죽음과 긴 겨울잠만을 앞둔 연약해 보이는 존재들도 한때 험한 비바람과 죽음 같은 겨울을 수없이 견뎌내며 환생한 용사들임을 기억한다. 그들의 전성기가 화려했든 소박했든 간에 모두 용감하고 굳세게 살아왔던 이 땅의 모든 존재들을 기억하며, 몰락과 소멸 역시 담담하게 용기 있게 받아들이고자 하는 태도가 읽힌다. 내려가기 싫다고 발버둥치며 억지 부리거나 울먹이며 징징거리지 않는 몰락과 죽음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물론 그렇다고 고통과 외로움이 없을 수는 없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민과 공감 역시 동요 ‘겨울나무’ 정도의 절제감을 유지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고향의 봄’으로 데뷔한 아동문학가 이원수가 1957년에 발표한 시에 정세문이 곡을 붙였다.
나무야 나무야 겨울나무야 / 눈 쌓인 응달에 외로이 서서 / 아무도 오지 않는 추운 겨울을 / 바람 따라 휘파람만 불고 있느냐
평생을 지내 봐도 늘 한자리 / 넓은 세상 얘기는 바람께 듣고 / 꽃 피는 봄 여름 생각하면서 / 나무는 휘파람만 불고 있구나-‘겨울 나무’(이원수 작시, 정세문 작곡)
역시 이 정도의 품격을 유지하는 것이 쉬워 보이지는 않는다. 그러나 두 노래 모두 긴 세월을 뛰어넘으며 사랑받는 것은, 품격을 갖춘 몰락과 소멸이란 게 쉽지 않아도 정말 유지하고 싶은 태도임을 많은 사람이 생각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2017-11-0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