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 수나라 군대의 두 번째 침공에 거짓 패전을 거듭하며 평양성 인근까지 정예 병력 30만명을 유인한 을지문덕은 대대적인 반격 작전을 실행해 퇴각하는 적군을 살수(薩水·청천강)에서 대부분 수장시켰다. 압록강을 건너 요동성으로 퇴각한 적군 숫자는 고작 2000여명에 불과했다고 역사는 기록했다. 살수대첩이다.
중국의 인터넷 포털 바이두(百度) 백과사전도 ‘살수의 전쟁’(薩水之戰)이라는 항목으로 당시의 상황을 비교적 상세히 설명한다. 수나라와 고구려를 각각 개별 국가로 전제하고 살수대첩을 수나라의 침공과 고구려의 방어라는 의미로 평가한 셈이다. 이 평가가 언제 180도 바뀔지는 알 수 없다. 중국의 공식 역사 교과서에서는 2016년부터 수나라 양제의 팽창정책을 ‘고구려 침공’이 아닌 ‘요동 정벌’로 은근슬쩍 바꿔 놓았다. 그렇다면 조만간 바이두 백과사전의 살수전쟁 항목이 ‘살수반란’으로 정정될지도 모를 일이다.
마오쩌둥의 신중국 건국 이후 ‘다민족통일국가론’을 국가적 역사 서술 좌표로 설정해 놓은 중국 역사학계는 과거 중국 영토 내 역사를 모두 자국사로 편입하는 일에 몰두해 왔다. 역사 침탈 논란을 일으킨 ‘동북공정’이 대표적이다. 중국 학계가 로키로 진행하면서 공론화하지 않았지만 동북공정은 최근까지 계속됐다. 특히 지린(吉林)성 사회과학원과 지린대학 주관으로 동북 지방의 역사를 정리한 ‘동북고대방국속국연구총서’ 발간이 장장 10년여 만에 지난해 말 사실상 마무리됐다. 총 15권 500만자 분량이다. 중국 국가사회과학기금의 중대 사업 가운데 하나로 진행됐다는 점에서 중앙정부의 전폭적 지원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사실상 동북공정의 ‘완결판’인 ‘동북고대방국속국연구총서’ 발간 사업을 통해 중국 역사학계는 기자조선부터 후금까지 과거 3000여년간 중국 동북 지역에서 흥망성쇠한 15개 독립 왕조의 모든 역사를 자국사에 편입했다. 우리 선조가 세운 부여, 고구려, 발해 등도 당대 중국 왕조의 지방정부(방국) 또는 속국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중국 역사학계가 편찬한 고구려사라니. 김치도, 한복도 모두 자기들 것이라고 우기는 그들 아닌가. 논란을 의식해서일까. 아직 총서 가운데 한 권인 고구려사는 대외 공개하지 않았다. 혹여 ‘살수대첩’을 ‘살수반란’으로 적어 놓지 않았을까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stinger@seoul.co.kr
2021-03-0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