섣달그믐부터 카카오톡으로 새해 인사가 쏟아진다. 휴대전화 화면 가득 새해 복 많이 받으라는 메시지가 쌓인다. 예전에는 종이 연하장으로 인사를 주고받았다. 카톡 등 모바일 메시지로 대체된 지금 돌아보면 아련한 풍경이다.
새해 첫날이면 이런 일상적인 인사 외에 정치인과 기업인의 신년사도 접하게 된다. 지인 간 새해 인사가 관계 유지나 친밀감을 표현하는 메시지라면, 이런 신년사는 국민과 시장에 전달하는 공적 메시지다. 시대의 고민과 목표를 압축적으로 담고 있어 국정운영이나 경영 방향을 가늠해 볼 수 있다. 특히 대통령의 신년사는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 때문에 대중의 관심이 높다.
역대 대통령 신년사는 당시의 시대적 과제를 토대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 한국전쟁 이후 이승만 전 대통령이 강조한 국가 재건과 반공, 박정희 전 대통령의 산업화와 근면 성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외환위기 극복을 위한 경제회복이 그런 경우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2020년 신년사에서 혁신과 포용, 공정과 평화를 바탕으로 함께 잘사는 나라,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에 한 걸음 더 가까이 가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담대한 선언’이었으나 5년이 지난 지금 우리 사회는 양극화 심화에 남북 관계 악화의 위기 국면에 놓여 있다.
대통령 탄핵소추로 올해 대통령 신년사는 없다. 대신 최상목 권한대행이 민생 안정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다짐했다. “국민 편에서 일하겠다”(우원식 국회의장), “국정 안정”(권영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국민의 삶에 함께 하겠다”(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등 정치인 신년사는 익숙한 수사의 반복이다.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조희대 대법원장의 신년사는 오래 귓가에 머문다. 국정 위기의 심각성을 일깨워서일까.
신년사의 각오나 다짐대로 복잡한 현안들이 풀린다면 더이상 바랄 나위가 없겠다. 모든 신년사가 국민과 경제에 희망의 불씨가 되기를 기대한다.
박현갑 논설위원
2025-01-0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