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미성년자 자녀의 장기이식, 옳은 일인가/하대청 광주과학기술원 기초교육학부 교수

[열린세상] 미성년자 자녀의 장기이식, 옳은 일인가/하대청 광주과학기술원 기초교육학부 교수

입력 2020-06-23 17:56
업데이트 2020-06-24 03: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하대청 광주과학기술원 기초교육학부 교수
하대청 광주과학기술원 기초교육학부 교수
그 앳된 얼굴의 중학생은 아버지에게 간을 기증했을까. 2016년 현장 연구를 할 당시 만났던 한 중년 남성은 중학생 아들을 가리키며 나중에 아들에게서 간이식을 받을 거라 말했다. 이미 2년 전 16세 딸에게서 신장을 이식받은 그는 이번엔 간이 좋지 않다고 했다. 간은 신장보다 기증자 위험이 더 크다는 점을 그 아버지는 알지 못하는 듯했다. 4년이 지난 지금 중학생 아들은 아마 고등학생이 됐을 텐데 이제 간을 기증했을까. 한국에서는 16세 미성년자라도 부모가 동의하면 장기를 기증할 수 있다.

살아 있는 가족이 기증하는 경우가 대다수인 한국 현실에서 장기이식은 가족이란 무엇인지, 기성세대가 다음세대에게 무엇을 해야 하는지, 의료의 목적은 무엇인지 등 무거운 질문을 던진다. 장기이식은 아픈 사람을 살리는 행위만이 아니다. 가족의 일원인 기증자는 후유증의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수술 이후에 불완전한 몸으로 평생을 살아야 하며 때로는 이식 후 복잡한 가족 내 역학관계를 견뎌야 한다. 아픈 환자를 살린다는 일로만 보기엔 장기이식은 보살펴야 할 사람과 관계가 많은 종류의 일이다.

흔히 장기이식을 죽어가는 이들이 마지막으로 의지하는 수단처럼 생각하지만, 최근의 장기이식은 이런 수준을 넘어섰다. 값비싸고 실험적인 치료가 아닌 경제적이고 표준적인 치료로 인식되면서 적용 범위가 한층 넓어졌다. 예를 들어 간암이 너무 진행돼 이식받더라도 재발이 확실한 환자가 2년 정도 수명을 연장한다며 가족의 간을 받는다. 70대 노인도 종종 이식받는다. 환자가 이식을 받고도 몇 개월 만에 사망하는 사례가 종종 있는데 이 중에는 이런 ‘공격적 확대’의 결과가 있다. 신장이식은 투석을 받다가 나중에 할 수 있지만, 수술 후 성적이 더 좋다는 이유로 투석 없이 곧장 이식을 받기도 한다. 대안이 없어서 하는 불가피한 선택이 아닌 것이다. 미성년자가 신장을 기증하는 사례 중에는 자녀가 성인이 돼 스스로 결정할 시간도 주지 않고 이렇게 서둘러 이식받는 경우가 있다.

기술이 개입할 가능성이 있을 때 그 기술적 개입은 자주 선택이 아닌 명령이 된다. 특히 의료현장에서 기술적 개입이 가능하다면 이는 생명연장의 희망으로 해석되고 어떤 비용을 치르더라도 이 희망을 실현하는 것이 윤리적인 것이 된다. 의료인류학자 쾨니히는 첨단기술이나 새로운 의료기기가 존재하면 이를 채택하고 표준적 치료로 계속 사용하려는 힘이 있다며 이를 ‘기술적 명령’이라고 불렀다. 장기이식에서 이 기술적 명령은 환자, 가족과 의료진이 한계 없이 이식을 확장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자신이 직면한 위험을 미래의 삶 속에서 가늠할 능력이 아직 없는 미성년 아이의 몸이라 할지라도 기술적 명령은 가리지 않는다.

언론의 관습적 서사는 기술적 명령을 좇아 미성년자의 몸에서 장기를 얻는 이 행위를 몸 바쳐 부모에게 효도하는 미담 정도로 그린다. 미성년 아이를 보호하려는 관심은 부모를 살린다는 명분 앞에서 사라지고 만다. 그 명분 뒤로 이상화된 가족상과 다른 가족의 현실이나 효의 의무, 두려움, 도덕적 비난 사이에서 겪었을 아이의 불안은 가려진다. 얼마 전 필자에게 전화한 한 여성은 남편이 부모에게 장기를 기증해야 하는 상황 앞에서 큰 혼란과 불안을 느꼈다고 고백했다. 그녀는 자신이 겪는 감정과 상황을 이해하려 했지만, 의료진이나 인터넷 정보는 도움이 되질 않았고 결국 자신의 경험을 책으로 기록하기로 했다. 성인도 힘들어하는 이런 종류의 불확실성과 위험 앞에 미성년 아이를 내몰면서 ‘효심’을 강조하고 ‘기증자 사망사고 제로’라는 통계를 내미는 것으로 충분할까.

유례없는 감염병 위기 속에서 우리는 의료에서 돌봄의 중요성을 새삼 느끼고 있다. 지친 몸으로 환자 곁에 머무는 의료진을 보며 의료의 본질은 몸과 마음이 취약해진 이들을 보살피는 돌봄이라는 것을 다시 확인했다. 수치를 읽고 약을 처방하는 일을 넘어 의료는 환자들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그들의 몸과 삶, 주변의 돌봄이까지 보살피는 행위라는 진실을 상기했다. 의료현장에서 우리는 다음 세대인 미성년 아이를 제대로 돌보는 것일까. 안타깝지만 아무래도 4년 전 중학생 그 아이는 간을 기증했을 것 같다.
2020-06-24 30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