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구두선과 간화선, 일도양단/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열린세상] 구두선과 간화선, 일도양단/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입력 2020-08-23 17:20
업데이트 2020-08-24 01: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송나라 때 목판인쇄술이 발전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원오극근(?悟克勤ㆍ1063~1135)이 펴낸 ‘벽암록’(碧巖錄)’과 같은 선문답을 담은 책을 접할 수 있게 됐다. 일반 대중의 참선 수행에 도움을 주었지만 일부 지식인들이 이를 단순히 암송하고 현학적 언행을 일삼는 등 실제 참선 수행은 소홀히 하는 폐단까지 생기게 됐다. 결국 남송 시대에 들어와 원오극근의 제자인 대혜종고(大慧宗ㆍ1089~1163)가 스승의 저술인 ‘벽암록’을 불태웠다. 바로 경문(經文)의 글귀만 읽고 입으로만 선을 말하며 실제 참된 선의 도를 닦지 아니한다고 하여 이를 구두선(口頭禪)이라고 했다. 현대에 들어 실행이 따르지 않는 실속 없는 헛된 말이나 말은 그럴듯하나 실제 행동이 뒤따르지 않는 모습에 대한 표현으로 실제 정책을 행하지 않는 행태를 비판할 때 자주 쓰인다. 구두공론, 구두삼매와 같은 뜻으로 쓰이고 공염불, 빈말이라고 하는 편이 더 쉽게 와닿는다.

어느 정부이고 내용은 둘째치고 그럴듯하고 멋들어진 이름을 가진 정책들이 넘쳐난다. 언뜻 대북 정책만 놓고 봐도 이명박 정부의 비핵개방3000, 박근혜 정부의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가 떠오른다. 그래서인지 이번 정부는 그냥 문재인의 ‘한반도정책’이라고만 하고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한마디로 소통과 변화를 담고자 열린 정책을 표방했다. 2018년만 하더라도 현 정부의 평화 행보는 예사롭지 않았다. ‘평화, 새로운 시작’을 외치며 내세운 한반도 신경제지도, 신한반도체제와 평화ㆍ경제ㆍ생명공동체, 새로운 한반도 100년과 최근 한국형 뉴딜까지 평화로운 한반도를 만들고자 한 노력과 무관하지 않다.

그럼에도 이번 정부가 오매불망(寤寐不忘) 주창하는 ‘평화’가 무엇인지 궁금하다. 무엇 때문에 우리가 여전히 일상에서 진정한 평화를 느끼지 못하는지 궁금하다. 왜 우리의 아들딸들이 평화 없는 이 땅에서 N포세대로 살아가야 하는지 궁금하다. 그렇다고 다음 세대엔 평화와 희망이 있다고 장담할 수 없다. 과연 어떻게 하면 한반도에 사는 모두의 삶 속에 평화가 찾아들지도 궁금하다. 지금 겪는 코로나가 사라지고 국제적 경제 불황이나 분쟁이 사라진다고 하여 한반도 역시 덩달아 평화로워질 것이라 기대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한반도 평화의 부재는 분단과 냉전이 가져다준 구조적인 문제다. 분단체제가 해체되고 냉전체제를 극복하지 않는 한 세종대왕이 환생한다고 해도 우리의 아들딸과 다음 세대의 고민을 해결해 줄 수는 없을 것이다.

이 땅에 사는 8000만 모두의 삶 속에 평화를 찾기 위해서는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바꾸고 미중 대결의 냉전체제를 극복하는 것이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다. 결국 해결책은 남북이 2018년 잡았던 손을 다시 놓지 않을, 더이상 분단하지 않을 용기다. 미중의 대결 구도가 심화되고 있는 엄혹한 국제관계 현실에서 국익이 최우선시되고 있다. 이해관계가 첨예한 갈등을 벌이기 일쑤인 국제관계의 현실을 용기와 결단력 없이 실천하지 않는 ‘평화’를 앞세워 해결하려 든다면 자칫 알맹이 없는 구두선(口頭禪)에 그칠 수도 있다. 무엇보다 제재와 미국 때문이라고 남 탓하는 대북 정책은 공염불에 지나지 않는다.

구두선의 폐단을 극복해 나타난 것이 간화선(看話禪)이다. 간화란 ‘화두를 본다´는 의미로 자신이 화두 자체가 되는 과정이다. 간화선은 자기 문제에 대한 철저함과 함께 본래면목(本來面目)에 대한 절박한 의심을 강조한다. 결국 지금 남북 관계의 위기는 남 탓이 아닌 내 탓이라는 자기 반성이 시작점이 돼야 하고, 남북 정상 간 합의 이행이라는 본질에 충실해야 한다. 그저 대북 인도적 지원이나 소규모 교류협력 정도로 문제를 해결하려 해서는 답이 없다.

위기이고 상황이 어려울수록 실천하는 용기 없이 성과를 기대할 수는 없다. 성공은 비판과 실패를 먹고 자란다. 쓴소리 토양을 용납하고 귀를 열어야 성과를 낼 수 있다. 성공은 말로 외친다고 이뤄지는 게 아니라 숱한 실패 속에 결단과 용기의 비용을 감내할 때 이뤄진다. 강대국의 눈치를 보거나 남남갈등이라는 정치적 셈법에 머뭇거리지 말고 한 칼로 쳐서 두 동강이를 내듯 일도양단(一刀兩斷)하는 결단력과 용기를 가지길 희망해 본다.
2020-08-24 30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