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가장 논란이 많은 이 땅은 성장을 주도하는 역할을 하거나 무모한 돈 낭비가 될 것이다.”
워싱턴포스트(WP)는 지난 17일(현지시간) ‘한국 정부, 새로운 세종시로 균형을 추구하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지난달 공식 출범한 세종특별자치시의 운명을 이같이 전망했다.
신문은 우선 국무총리실 등 36개 중앙부처가 다음 달부터 단계적으로 세종시로 옮겨 가지만 아직도 공무원들은 이전 계획에 대해 확신을 갖지 못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계획대로라면 세종시는 2030년까지 인구 50만명의 자족 도시로 만들어져 수도권 편중 현상을 해소할 수 있겠지만 비판론자들은 여전히 행정부의 일부를 멀리 옮기는 것은 ‘정신나간 일’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또 세종시는 한국에서 ‘개발’이라는 개념의 변화를 반영한다면서, 세계 일류국가의 반열에 들어서면서 국민들이 성장률보다는 성장의 과실을 누가 가져가느냐에 더 신경을 쓴다는 지적이 있다고 했다.
아울러 국민들이 소득격차 확대는 물론이고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에 대해서도 걱정하고 있으며, 세종시 이전이 그 결과물이라고 분석했다.
신문은 2030년까지 50만명 규모의 자족 도시로 성장한다는 세종시의 ‘청사진’을 소개하면서 아직은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기 힘든 상태라고 덧붙였다.
워싱턴 김상연특파원
carlos@seoul.co.kr
워싱턴포스트(WP)는 지난 17일(현지시간) ‘한국 정부, 새로운 세종시로 균형을 추구하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지난달 공식 출범한 세종특별자치시의 운명을 이같이 전망했다.
신문은 우선 국무총리실 등 36개 중앙부처가 다음 달부터 단계적으로 세종시로 옮겨 가지만 아직도 공무원들은 이전 계획에 대해 확신을 갖지 못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계획대로라면 세종시는 2030년까지 인구 50만명의 자족 도시로 만들어져 수도권 편중 현상을 해소할 수 있겠지만 비판론자들은 여전히 행정부의 일부를 멀리 옮기는 것은 ‘정신나간 일’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또 세종시는 한국에서 ‘개발’이라는 개념의 변화를 반영한다면서, 세계 일류국가의 반열에 들어서면서 국민들이 성장률보다는 성장의 과실을 누가 가져가느냐에 더 신경을 쓴다는 지적이 있다고 했다.
아울러 국민들이 소득격차 확대는 물론이고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에 대해서도 걱정하고 있으며, 세종시 이전이 그 결과물이라고 분석했다.
신문은 2030년까지 50만명 규모의 자족 도시로 성장한다는 세종시의 ‘청사진’을 소개하면서 아직은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기 힘든 상태라고 덧붙였다.
워싱턴 김상연특파원
carlos@seoul.co.kr
2012-08-20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