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 성 따릅니다”…2530년 일본인 전부 ‘사토 상’ 된다

“남편 성 따릅니다”…2530년 일본인 전부 ‘사토 상’ 된다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4-04-02 14:47
업데이트 2024-04-02 14: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요시다 히로시 도호쿠대 교수, 조사 결과 발표
이미지 확대
도쿄의 행인들이 긴자 쇼핑가를 걸어가고 있다. AP 연합뉴스
도쿄의 행인들이 긴자 쇼핑가를 걸어가고 있다. AP 연합뉴스
500년 뒤 일본인의 성씨는 모두 ‘사토(佐藤)’ 하나로 통일될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일본에서는 결혼할 경우 배우자 한쪽의 성씨를 따르는 부부동성제도가 있기 때문이다.

2일(한국시간)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요시다 히로시 도호쿠대 교수의 조사 결과를 인용, 지금으로부터 500년 뒤인 2531년 일본에서 ‘사토’라는 성씨가 전체 성씨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00%가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현재 일본 전체 성씨에서 사토는 약 1.5%를 차지한다.

우리나라 김씨가 전체 인구 중 20%로 그 비중이 훨씬 높은데도 불구, 이런 추산이 나오는 이유는 일본의 부부동성제도 때문이다.

일본은 민법에서 ‘부부는 혼인 시에 정하는 바에 따라 남편 또는 아내의 성씨를 따른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를 따르지 않고 각각의 성씨를 유지할 경우 법률혼으로 인정받을 수 없다.

결국 이 제도를 지속할 경우 사토 성을 가진 사람과의 혼인이 늘어날 수밖에 없고, 오랜 시간을 거치면 모든 성씨가 사토로 흡수된다는 것이 요시다 교수의 지론이다.

요시다 교수는 “기존 제도를 유지할 경우 성씨가 상실된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추계라고 말할 수 있다”며 “성씨가 가지는 전통이나 문화, 개인의 생각을 존중하기 위한 방안을 생각해야 할 때”라고 밝혔다.

매체는 “이미 약 13만개의 성씨 중 5만개는 멸종위기다. 이미 소멸한 성씨도 적지 않다”고 덧붙였다.

요시다 교수는 결혼, 이혼, 출생, 사망에 의해 변화하는 변수까지 고려해 2022년과 2023년 총무성 인구수 데이터를 기반으로 성씨 비율을 산출했다.

이에 따르면 사토 성을 가진 인구는 연 0.8%씩 증가하고, 한쪽의 성씨를 따르는 제도를 계속 유지한다고 가정하면 2531년 100%에 이르게 된다.
이미지 확대
도쿄 신주쿠의 유흥가에 설치된 한 전광판. EPA 연합뉴스
도쿄 신주쿠의 유흥가에 설치된 한 전광판. EPA 연합뉴스
일본, ‘부부 동성 제도’ 법 명시한 유일한 나라
일본에서 부부 동성 제도가 정착한 것은 사무라이 등 일정 수준 이상 신분에만 허용됐던 성이 보편화한 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다.

일본은 법률상 부부가 남편이나 부인의 성 중 하나만 택하게 하고 있으며, 대다수 부부는 부인이 남편 성을 따른다. 일본은 부부 동성 제도를 법에 명시한 유일한 나라다.

실제로 일본에서는 부부별성제도 도입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추세다. 혼인 시 성씨를 바꾸는 사람 중 90% 이상이 여성이기 때문에, 이것이 여성의 사회적 진출을 막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기 때문이다.

지난달 3월 8일 세계 여성의날을 맞아 기업 CEO 등 재계 인사 1000명은 부부별성제 조기 실현을 정부에 촉구하는 요구서를 제출하기도 했다.

서명에는 니이나미 다케시 산토리 홀딩스 회장, 미키타니 히로시 라쿠텐 그룹 회장도 이름을 올려 힘을 보탰다.

지난 2월 게이단렌의 도쿠라 회장은 “여성의 일하는 방식 개선 등을 지원하기 위해 별성 제도 도입을 최우선 과제로 해줬으면 한다”고 밝혔다.
김채현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