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부터 ‘전수천의 사회읽기’
“몇 년 전 아는 사람을 통해 어찌저찌 작업실을 구한 게 전북 임실이에요. 거기 가서 보니 문화, 전시 뭐 그런 것은 꿈 같은 얘기더군요.” 그래서 어깨에서 힘을 쭉 뺐다고 했다. 전수천 작가는 어깨에 힘 좀 들어가도 되는 작가다. 1995년 베네치아비엔날레 한국관 전시를 통해 특별상을 받았다. 이듬해 브라질 상파울루비엔날레에 아시아 대표작가로 참가했다. 2005년 흰 천을 덧씌운 기차로 미국 대륙을 횡단한 것을 하나의 드로잉으로 표현해 낸 대규모 프로젝트를 선보이기도 했다. 서울시 신청사에 설치된 대형 설치작품 ‘메타서사-서벌’도 그가 만든 것이다.주식을 세단하다
마음을 고쳐 먹은 건 어쩌면 자신과 닮아 있는 게 아닌가 싶어서다. “임실에다 작업실을 구하다 보니 막 치고 올라오는 젊은 작가들 때문에 설 자리가 마땅치 않은 저와 문화소외 지역이란 느낌이 좀 비슷하기도 해서….” 백남준의 영향도 있다. 1970년대 미국 뉴욕에서 지낼 때 백남준과 같은 동네에 살면서 자주 어울렸다. 그때 백남준은 무조건 전시를 하라고 했단다. “아무리 낡고 안 좋은 전시장일지라도 미술을 널리 알릴 수만 있다면 그 어느 곳에서든 전시를 한다는 백남준 선생의 말씀도 떠올랐고요.”
그래서 작품도 추상적이고 어려운 것보다 가볍고 즐겁게 볼 수 있는 것들로 구성했다. 어깨에서 힘을 빼고 척 봐서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작품들로 전시를 구성했다. 제목에서처럼 그냥 현대사회의 이런저런 풍경들이라는 것이다. ‘주식을 세단하다’, ‘꿈의 모습-어떤 단편’ 같은 설치작품은 주식에 대한 얘기다. 하나는 주식시세 용지를 세단기로 막 잘라대고 다른 하나는 주식 등락에 따라 엇갈리는 사람들의 모습을 담아뒀다. 정작 작가 자신은 주식을 할 줄 모르지만 주식의 거품에 현대인들의 모습이 투영됐다 싶어 만든 작품이다. ‘들숨과 날숨’은 대비되는 소재로 과거와 미래를 드러낸 것이다. 한쪽은 7만개의 철사를 녹슬게 해 이어 붙였고, 다른 한쪽은 유리처럼 투명하고 빛나는 폴리카보네이드를 이어 붙여 허파의 모습을 만들어 뒀다. 과거의 들숨, 미래를 위한 날숨이다. ‘소통일까 욕망일까’는 복잡한 전화교환대의 모습을 형상화했다. 전시장 입구에 ‘온돌방-소통의 시작’을 둔 이유도 거기 있다. “그 어디를 나가든 결국 들어와 앉아서 쉬고 나누는 곳, 그게 온돌방이잖아요. 관람객들이 들어올 때, 다 보고 나갈 때 그냥 앉아 있을 수 있는 곳으로 꾸며 보고 싶었어요.”
차기작도 구상 중이다. 아메리카 대륙을 횡단했으니 유라시아 대륙 횡단, 그러니까 서울에서 베를린까지 도전해 보고 싶은 것. 물론 북한 때문에 현실적으로 실현가능성이 높진 않지만 말이다. (02)2289-5401.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3-01-1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