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부희령 지음 자음과모음 펴냄
잔인하다 싶다. 어렵지 않게 주변에서 만날 법한 인물들이 놓인 처지가 그렇다. 딱할 정도로 비루하기도 하다. 제각각 절망적인 상황을 담은 소설들을 하나하나 거치다 보면 감정은 점점 “이 기분, 뭔지 알 것도 같다.”로 옮겨 간다.2001년 단편소설 ‘어떤 갠 날’이 일간지 신춘문예에 당선되면서 등단한 소설가이자 번역가 부희령(48)이 현실 그 자체를 담은 첫 소설집 ‘꽃’(자음과모음 펴냄)을 냈다. 각종 지면에 발표한 단편소설 7편을 모았는데 은근한 통일감이 흐른다. ‘결핍’이다. 끊임없이 외부와 소통하지만 자신을 그대로 내보이지 않는 자존감이 부족한 인물이다. 사랑을 놓치고 삶의 터전을 상실하며 청춘을 잃은 인물도 있다. 이들을 스치는 환경은 서정적인데 현실은 잔혹하다. 표제작 ‘꽃’은 여성성에 대한 자신감을 이야기한다. “여자는 자신의 몸을 타인에게 내보이면서 한 번도 자랑스러움을 느껴본 적이 없었다…아무도 없는 방에서 조심스럽게 거울을 들이대고, 스스로의 몸을 들여다볼 때도 여자를 지배했던 것은 모욕감과 수치스러움이었다.”(70쪽)
빛바랜 벽지의 얼룩을 보면서 꽃을 떠올린 여자는 왜 여성의 성기를 ‘꽃’이라고 부르는지 끊임없이 질문을 던진다. 벽지에서 시작된 의문과 연상 작용은 여자가 자신의 몸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소녀 시절부터 성관계를 처음 맺은 날을 거쳐 지금 벽지를 보는 시간까지 여성의 몸을 보는 시각과 의식 변화를 되짚어본다. ‘왜 남자는 자신감이 넘치고 여자는 그렇게 위축돼 있을까.’라는 문제를 두고 몸과 섹스에 대한 남녀의 다른 기대와 의미에 대한 심리 분석을 소설로 풀어낸 듯하다.
불안한 청춘 시절을 떠올리는 ‘어떤 갠 날’, 자신을 드러내지 않으면서도 타인과 만남을 이어가려는 ‘사다리게임’, 비극적인 운명을 삼촌에게 버림받은 단종에 합일시키는 ‘정선, 청령포’ 등에서 그악스럽고 비루한 생의 이면을 파헤치는 작업은 계속된다.
인물들이 어째 하나같이 열패감과 자조감에 휩싸여 있을까. “주류에 대한 이야기는 다른 많은 소설에서 보여줄 테니 지금 옆에 있을 수도 있는 비주류의 삶을 조명하고자 했다.”는 작가는 “자신감 없어 보이는 이들에게도 끝까지 붙잡고 싶은, 놓칠 수 없는 자존감은 분명히 있다는 것을 풀어내보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2012-05-05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