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에 빠졌다… 달콤한 도시인
23일 오전 서울 명동 유네스코회관 옥상. 어반비즈서울 박진(32) 대표와 송원일(23)씨가 벌통을 열자 2만여 마리의 벌이 득실거리며 위용(?)을 드러냈다. ‘명동 벌’들이 하루 3~10여 차례 벌통을 드나들며 모아 온 것은 아카시아 꿀. 행동반경이 2~4㎞인 벌들의 밀원(벌이 꿀을 빨아 오는 원천)은 유네스코회관 옥상에서 곧장 바라다보이는 남산이었다. 박 대표는 벌들의 날갯짓으로 수분을 날린 숙성꿀을 오는 7월 채밀할 예정이다.빌딩숲 가운데인 서울 명동 유네스코회관 옥상에서 23일 박진(오른쪽) 어반비즈서울 대표와 양봉 수강생이 벌집을 들어 보이고 있다. 이 옥상에 있는 벌통 5개에는 꿀벌 10만여 마리가 살고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8년째 한국에서 살고 있는 프리랜서 번역가 영국인 벤 잭슨(33)은 시골 고향에서도 안 하던 양봉을 서울 한복판에서 도전하고 있다. 지난 3월부터 노들섬에서 벌을 치기 시작한 그는 “벌이 바지에 들어갔는데 쏘이기 전에 무사히 탈출시켰다”며 웃음을 터뜨렸다. “21세기 도시에서 양봉을 하는 것은 인간과 자연이 친화하기 위한 한 걸음”이라고 믿는 그는 “이웃들의 반대만 없다면 집 옥상에서도 꿀벌을 키우고 싶다”고 말했다.
‘꿀벌에 빠진 도시인’들이 소리소문 없이 늘고 있다. 현재 서울 도심에서 벌을 칠 수 있는 곳은 11곳에 이른다. 대전에도 9곳의 도심 양봉장이 들어섰다. ‘도시 양봉가’ 키우기에 나선 사회적 기업 어반비즈서울의 경우 지난해 6월 첫 양봉 수업 수강생이 15명이었는데 4개월 만에 60명을 넘어섰다. 중학생부터 회사원, 주부, 70대 은퇴자까지 연령대와 관심사가 제각각인 이들이 ‘꿀벌 살리기’에 나선 이유는 뭘까.
박 대표는 “양봉 교육 희망자 2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새로운 문화를 경험해 보고 싶은 ‘얼리어답터’(32%)형과 꿀벌을 살려 지구를 지키고 싶어 하는 ‘독수리오형제’(21%)형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었다”며 “수요가 많아지는데도 벌을 칠 장소와 강사가 부족해 정원을 늘리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4-05-24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