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설위원의 사람 이슈 다보기] “발사 성공 땐 세계 11번째 국가… 결과 못지않게 축적 기술도 중요”

[논설위원의 사람 이슈 다보기] “발사 성공 땐 세계 11번째 국가… 결과 못지않게 축적 기술도 중요”

임창용 기자
임창용 기자
입력 2018-01-25 17:40
수정 2018-01-25 19: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

순수 우리 기술로 제작한 발사체에 위성을 실어 우주로 쏘아 올리는 한국형 발사체 개발 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을 만났다.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
-우리나라의 발사체 기술 수준을 자체 평가해 달라.

“정확히 말하면 아직 발사 기술이 없다. 한번도 발사하지 않았으니까. 다만 오는 10월 시험발사체 발사에 성공하면 2020년 예정인 한국형 발사체 발사에 매우 가까워졌다고는 말할 수 있다. 시험발사체는 최고 고도 190㎞로 400㎞ 정도 비행하게 될 것이다. 2년 뒤 발사될 한국형 발사체는 1.5t 실용위성을 고도 600~800㎞의 저궤도에 투입시키는 3단형 발사체다. 시험발사체에 장착된 75t급 엑체엔진 5기(1단 4기, 2단 1기)와 7t급 엔진 1기(3단)가 들어간다. 한국형 발사체 발사에 성공하면 세계에서 11번째로 우주로 국산 발사체를 이용해 위성을 쏘아 올리는 나라가 된다.”

-발사체를 개발하면서 어떤 점이 가장 어렵나.

“너무 결과만 바라보는 외부 시선이다. 실패하면 비난이 쏟아지고 성공하면 언제 그랬냐는 듯 환호한다. 우리가 2단 엔진만 개발한 나로호 발사 때도 3차례에 걸친 발사 끝에 성공했다. 1차, 2차에 실패하자 갑자기 예산이 3분의1토막 났다. 언젠가 국회에 가서 발사체 개발사업에 대해 설명할 기회가 있었는데, 국회의원들이 ‘실패만 하면서 돈만 많이 쓰려고 하느냐’라고 나무라더라. 나로호 실패로 예산이 줄어들면서 발사체 시험을 위한 설비 설치가 많이 늦어졌다. 우주개발사업은 시험과 시행착오의 연속이다. 과학자들은 실패를 통해 기술을 습득한다. 대신 똑같은 실패는 하지 않는다. 결과 못지않게 그 과정에서 축적한 기술도 중요하다.”

-한국형 발사체는 정말 순수 우리 기술만으로 발사되나.

“핵심 기술과 부품은 모두 국산이다. 설계와 제작, 조립, 시험 모두 다 우리 기술로 진행한다. 다만, 엔진의 터보펌프에 들어가는 베어링 같은 극히 일부는 수입품을 쓴다. 기술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국내 업체가 가격 때문에 만들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궁극적으론 이런 부품도 국산화가 필요하긴 하다. 작은 부품 하나도 우주 발사체에 들어가는 것은 다른 나라들이 팔기를 꺼린다. 베어링만 해도 미국이나 러시아, 중국은 안 주려고 한다. 특히 미국은 우리가 액체로켓 개발을 시작한 순간부터 사소한 것까지도 팔지 않는다. 베어링은 유럽에서 수입해 쓴다.”

-현재 미국에선 스페이스X 같은 민간업체가 우주개발사업에 뛰어들었다. 한국에선 어려운가.

“미국도 나사가 60년 이상 우주개발사업을 이끌어 왔다.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어가 민간 기업이 뛰어들기는 쉽지 않다. 현재 설비와 부품 제작, 발사체 조립 등은 우리도 기업들에 맡긴다. 발사체에 들어가는 모든 부품이 사실상 처음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가 설계한 뒤 비슷한 부품을 만드는 기업을 찾아가 제작을 의뢰한다. 기업들은 대부분 참여에 소극적이다. 몇 개만 만들어선 도저히 수익이 나지 않으니까. 지금도 항우연이 많은 예산을 쓰지만 대부분 기업으로 흘러간다. 기업들이 차차 기술력을 확보해 설계와 시험 능력까지 갖추게 되면 우주개발사업이 자연스럽게 민간 부문으로 확산되리라고 본다.”

-개발 현장에서 연구원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점은.

“발사체에만 250여명, 위성에 200여명이 참여하고 있다. 각자 자신이 설계한 부품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끊임없이 시험한다.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시험이 여의치 않을 때 스트레스가 엄청나다. 시험은 작은 것부터 시작해 갈수록 크고 어렵다. 비행체가 발사된 순간 최종 시험이 진행되는 셈이다. 2009년 나로호 발사에서 페어링이 제대로 분리되지 않아 실패했을 때 페어링 담당 연구원은 한동안 공황장애에 시달렸다.”

sdragon@seoul.co.kr
2018-01-26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