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朴대통령 첫 실명 비난…남북관계 더 꼬이나

北, 朴대통령 첫 실명 비난…남북관계 더 꼬이나

입력 2013-05-26 00:00
업데이트 2013-05-26 14: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반도 정세 변화 움직임에도 南비난 공세 강화

북한이 중국에 특사를 파견해 한반도의 대화 국면을 원하는 듯한 메시지를 국제사회에 보내면서도 남한 정부에 대해서는 박근혜 대통령의 실명을 처음 거론하며 거칠게 비난, 남북관계가 더욱 악화될지 우려된다.

북한은 최근 남측이 제안한 개성공단 실무회담에 부정적 반응을 이어갔고 국방위원회와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등 각종 권력기관을 동원해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비난 수위를 높였다.

특히 국방위 정책국 대변인은 25일 발표한 담화에서 박 대통령을 “괴뢰대통령 박근혜” 또는 “박근혜”라고만 지칭하고 “황당한 궤변”, “요사스런 언행”, “악담질” 등의 원색적인 표현도 동원했다.

북한은 그동안 박 대통령을 비난할 때 ‘남조선 집권자’ ‘청와대 안방주인’ 등으로 지칭했고 ‘박근혜 정권’이라는 표현은 썼지만 박 대통령을 실명으로 직접 공격하지는 않았다.

북한의 이런 격한 태도는 박 대통령의 발언에 맞대응하는 성격이 큰 것으로 평가된다.

박 대통령은 지난 23일 미국의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존 햄리 소장 일행을 접견한 자리에서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이 그동안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는 ‘도박’을 했고 경제발전과 핵개발의 ‘병진노선’은 결코 성공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이 집권하고 나서 김 제1위원장의 이름을 직접 언급하기는 처음이었고, 조평통과 국방위 정책국의 비난은 모두 박 대통령이 CSIS 일행과 면담한 발언을 문제삼은 것이다.

북한은 최고 지도자나 체제에 대한 외부의 비난에 극도로 민감한 반응을 보여왔고 이번 박 대통령에 대한 비난도 비슷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문제는 북한의 박 대통령에 대한 실명 비난이 남북관계에 미칠 부정적 영향이다.

국방위 정책국 대변인은 “박근혜를 비롯한 남조선의 현 괴뢰집권자들의 차후 움직임을 예리하게 지켜볼 것”이라고 여지를 남겼지만 남북한이 서로 최고 지도자를 비난하면서 남북관계가 더 꼬일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실제로 이명박 정부 때도 남한 대통령에 대한 북한의 실명 비난 이후 남북관계는 돌이키기 어려운 상황을 맞았다.

북한은 2008년 이명박 대통령이 집권한 뒤 한달 넘게 직접적 비난을 하지 않다가 그해 4월 1일 노동신문에서 처음으로 이 대통령의 실명을 거론하며 ‘비핵개방 3000’ 등의 대북정책을 비판했다.

이후 그해 7월 금강산관광지구에서 남측 관광객 박왕자 씨 사망 사건이 발생하는 등 남북관계는 좀처럼 개선의 돌파구를 찾지 못했다.

이에 따라 북한이 중국, 일본 등 한반도 주변국에는 부드럽게 접근하면서도 남한 정부에 대해서는 당분간 강경한 태도를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남한 정부가 대북 메시지 관리에 좀 더 신경을 쓸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고유환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 국방위 정책국의 비난은 박근혜 대통령의 발언에 한정된 반응으로 보이지만 남한 최고 지도자의 이름을 거론해 비난 수위를 높였다는 점에서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며 “우리 정부가 북한과 관계설정을 위해서는 굳이 자극적인 발언은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