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5 공동행사 강행 움직임에 정부 ‘난감’

6·15 공동행사 강행 움직임에 정부 ‘난감’

입력 2013-05-26 00:00
업데이트 2013-05-26 16: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측위, 개성에서 공동개최 입장…정부, 부정적

북한이 최근 최룡해 군 총정치국장의 방중에서 6자회담 복귀 의사를 언급하는 등 ‘대화 모드’로 선회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6·15 공동선언 13주년 기념행사가 남북 관계의 또 다른 변수로 떠올랐다.

6·15 공동선언실천 북측위원회(북측위)는 지난 22일 남측위 측에 보낸 팩스를 통해 13주년을 맞는 6·15 공동선언 행사를 남북이 개성 또는 금강산에서 함께 개최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6·15 남측위 측은 지난 24일 주무부처인 통일부 당국자를 만나 북측의 제안대로 행사를 열고 싶다는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북측위의 제의에 화답해 이번 행사를 개성에서 열자는 것과 이를 위해 양측이 북한에서 사전 실무회담을 개최하자는 내용의 팩스를 오는 27일 북측에 보낼 계획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북한에서의 6·15 13주년 행사 개최에 대체로 부정적이다.

우리 측의 개성공단 물자 반출을 위한 실무회담 제의에 북한이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민간단체인 남측위의 방북을 허용하면 북측의 ‘통민봉관’(通民封官) 전략에 말려드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 때문이다.

그렇다고 이들의 북한 방문을 허락하지 않는다면 대화 의지가 없다는 안팎의 비난이 나올 수 있다는 점에서 속내는 다소 복잡하다.

정부 입장에서는 남측위 측이 자진해서 방북 계획을 철회하는 것인 최선의 시나리오지만 현재로서 그럴 가능성은 작다.

정부 당국자는 26일 “기본적으로 남북관계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방북 허가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면서도 “지금 상황이 (남북관계 상황이) 매우 어렵지 않느냐”며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