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회담 무산에 더 깊어진 갈등
외교부 “약식회담 개최 사전 잠정 합의”
스가 “文이 먼저 인사해 예의상 인사”
전문가 “스가 정치적 이득 없다 판단”
13일(현지시간)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영국 콘월에서 열린 주요8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2021.6.13
AP 연합뉴스
AP 연합뉴스
일본 정부 대변인인 가토 가쓰노부 관방장관은 14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정상회담을 일본 측이 취소했다는) 보도를 봤지만 그런 사실은 전혀 없다”며 “사실에 반할 뿐 아니라 일방적인 전달은 유감으로 즉각 한국 정부에 항의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G7 정상회의 스케줄상 한일 정상회담이 열리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일본 측이 회담 취소 이유로 내세운 것으로 알려진 독도방어훈련에 대해서도 “매우 유감”이라며 “한국 정부에 즉각 강력하게 항의하고 (훈련) 중단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앞서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는 강제징용,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에 대해 한국 측이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는 한 한일 정상회담 개최는 어렵다고 G7 회의에 동행한 기자단에 밝혔다.
교도통신과 니혼게이자이신문 등 일본 언론의 보도를 종합하면 스가 총리는 12일(현지시간) 회의장에서 문재인 대통령과의 첫 대면과 관련해 “(문 대통령이) 같은 회의장에서 인사하러 와서 실례가 되지 않게 인사했다”고 말했다.
이어 “바비큐(만찬) 때도 (문 대통령이) 인사하러 왔다”고 밝혔다. 한국 외교부 당국자에 따르면 한일 외교 당국은 사전에 약식 정상회담을 하기로 잠정 합의한 상황인데, 스가 총리는 전혀 응할 생각이 없었던 것이다.
일본 정부는 그동안 한일 정상회담 개최에 대해 부정적이었다. 역사 문제와 관련해 일본 정부는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과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를 한국 정부가 지켜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이 때문에 일본 정부 입장에서 문재인 정부의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 데다 한국 정부의 태도가 변하지 않는 한 일본 정부가 회담에 응할 필요가 없다는 기류가 강했다. 특히 오는 9월 말 임기를 끝내고 재선을 노리고 있는 스가 총리로서는 일본 내부의 반대 목소리를 무릅쓰고 한일 정상회담을 추진할 이유가 없었던 상황이다.
이원덕 국민대 일본학과 교수는 “강제징용에 대한 해결책 없이 ‘만나자’고 제스처만 한다고 생각하는 한국과 정상회담을 하는 게 스가 총리 입장에선 정치적으로 득점이 안 된다고 판단했을 것”이라면서 “한일 사이에 신뢰가 너무 떨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김헌주·김진아 기자 dream@seoul.co.kr
2021-06-15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