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가뭄에 녹조 급속 확산… 정부, 뒤늦게 긴급 실태파악
전국의 강과 호수가 급속도로 번지는 녹조 때문에 몸살을 앓고 있다. 수질관리 책임 부처인 환경부는 뒤늦게 비상이 걸렸지만 뾰족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가뭄과 폭염 때면 어김없이 녹조가 발생했다가 비가 오면서 사라졌다. 하지만 이번에는 유례없는 폭염이 지속되면서 심상치 않은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유영숙 환경부 장관은 6일 오전 긴급대책 회의를 열고 팔당호 현장을 둘러본 뒤 수도권 정수 처리시설을 돌며 실태 파악에 나섰다.지난달부터 지방유역환경청과 지방자치단체에 녹조 관련 점검반 상시운용 지시가 내려졌지만 행여 불똥이 튀지 않을까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환경부는 녹조의 원인을 4대강 사업에 의한 보가 아니라 폭염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녹조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려면 많은 비가 내려 수온이 내려가기를 바랄 수밖에 없다. 그외 수돗물 대책이라야 정수장에서 활성탄을 이용해 냄새를 제거하는 등 정수 과정을 강화하는 방법이 최선책이다. 녹조를 일으킨 ‘마이크로시스티스’에 대해 환경단체들은 독성을 주장하고 있지만, 환경부는 현재 녹조의 원인 조류에는 모두 독성이 없다고 강조 한다. 환경부는 수돗물 안전과 관련해 고도 정수 처리시설을 거친 경우 안전하고, 그렇지 않으면 흙냄새가 날 수 있지만 끓여 마시면 안전하다는 말만 되풀이한다.
녹조는 부영양화된 호소나 유속이 느린 하천에서 부유성 조류가 대량 증식해 물색을 녹색으로 변화시키는 현상이다. 주로 수온이 상승하는 봄철부터 발생하기 시작해 늦가을까지 성장한다. 일반적으로 남조류나 녹조류가 번식할 때 녹색을 띠는데 이를 녹조 현상이라고 부른다. 녹조를 일으키는 조류는 남조류·규조류·녹조류로 구분된다. 이 중 국내에서 녹조를 발생시키는 것은 대부분 남조류에 의한 것이다. 학계에는 남조류가 독소(간독소)를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것에는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환경부 최종원 수도정책과장은 “원수와 수돗물에 함유된 독성 물질 농도를 매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독성 조류가 검출된 사례가 없다.”고 거듭 밝혔다.
유진상기자 jsr@seoul.co.kr
2012-08-07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