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김남훈 경사 부친 김권찬씨
“희생된 경찰과 철거민 모두 피해자라고 생각해요. 감정적인 말을 거두고 조금씩 양보했으면 좋겠습니다.”김권찬씨
김권찬(66)씨는 17일 용산참사 현장인 서울 용산구 옛 남일당 건물을 찾아 주차장으로 변한 터를 우두커니 바라보고 있었다. 경찰특공대원이었던 아들 고(故) 김남훈(당시 31세) 경사가 2009년 1월 진압 과정에서 철거민 5명과 함께 숨진 곳이다.
7살 된 딸을 남기고 떠난 자식을 가슴에 묻은 지 4년이 흘렀지만 한시도 잊은 적이 없다고 했다. 김씨는 “여태까지 용산참사를 둘러싼 갈등이 계속되고 있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김씨는 당시 망루에 올랐던 철거민을 원망하지 않았다. “없이 살아봐서 알지만 보상 한푼 못 받고 상가에서 나가라고 한다면 나라도 죽을 각오로 농성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참사 당시 숨진 철거민들의 빈소를 찾고 참사 1년 뒤에는 철거민 희생자인 고(故) 이상림(당시 72세)씨의 아내 전재숙(70)씨와 만나 가족 잃은 슬픔을 서로 달래기도 했다. 하지만 용산참사 당시 경찰이 과잉 진압을 했다는 주장에는 동의할 수 없다고 했다. “남일당 건물 앞 대로에는 차량 통행량이 많은데 (망루 위 철거민들이) 그곳에 돌과 화염병을 던지는 상황에서 진압은 어쩔 수 없었던 일이라고 본다”는 입장이다.
김씨는 철거민 가족들이 ‘한가지 주장’만 철회한다면 구속된 철거민들이 석방될 수 있도록 해달라고 함께 목소리를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진압 경찰을 처벌하라’는 요구다. 김씨는 “서른을 갓 넘긴 아들이 공권력 집행 과정에서 죽었는데 힘든 마음으로 치면 철거민 분들보다 못하겠느냐”면서 “경찰을 구속하라고 하면서 철거민은 풀어달라고 하는 건 맞지 않는 것 같다. 마음이 아프시겠지만 시간이 흐른 만큼 조금씩 양보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씨는 다만 “용산 참사를 다룬 영화 ‘두개의 문’을 보니 현장에서 진압을 지휘한 과정에는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면서 “경찰특공대의 진압 지휘 과정에 대한 진실 규명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씨는 4주기인 오는 20일 경찰특공대원 40여명과 함께 아들이 있는 대전 국립현충원을 찾을 예정이다. 김씨는 “이유를 막론하고 용산 참사는 결코 다시는 일어나서는 안 될 일”이라고 강조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13-01-18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