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7주기... 아픔 마주보며 어른이 된 단원고 생존자들

세월호 참사 7주기... 아픔 마주보며 어른이 된 단원고 생존자들

최영권 기자
최영권 기자
입력 2021-04-15 19:50
수정 2021-04-15 19: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함께 아파하고 기억해주신 분들께 감사합니다”

7년 전 4월 16일 침몰하는 세월호에서 가까스로 탈출한 두 사람이 참사 7주기를 하루 앞둔 15일 경기 안산 단원구 고잔동 4.16민주시민교육원 내 기억교실을 찾아 서로의 손을 맞잡고 마주보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7년 전 4월 16일 침몰하는 세월호에서 가까스로 탈출한 두 사람이 참사 7주기를 하루 앞둔 15일 경기 안산 단원구 고잔동 4.16민주시민교육원 내 기억교실을 찾아 서로의 손을 맞잡고 마주보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올해는 좀 괜찮은 줄 알았는데 똑같은 4월이네요.”

세월호 참사 7주기를 하루 앞둔 15일, 경기 안산시 단원구 4.16민주시민교육원에 마련된 ‘기억교실’을 찾은 박솔비(24)씨는 친구들의 책상을 물끄러미 바라보다가 이내 얼굴을 찡그렸다. “약 가져올걸….” 혼잣말을 한 박씨는 “공황장애를 앓고 있다”며 취재진에 양해를 구했다. “애써 잊고 살다가도 매년 4월만 되면 떠난 친구들이 생각나서 불에 덴 상처를 만지는 것 같아요.”

2014년 4월 16일, 고2 수학여행을 떠나며 탔던 배가 침몰하면서 304명의 희생을 지켜본 단원고 생존자들은 이제 우리 나이로 스물다섯이 됐다. 이들은 미처 아물지 않은 상처에 아파하면서도 사회로 나갈 준비를 하며 인생의 항로를 개척하고 있었다.
세월호 7주기를 하루 앞둔 15일 경기 안산 단원구 고잔동 4.16민주시민교육원 ‘기억교실’에 노란리본이 걸려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세월호 7주기를 하루 앞둔 15일 경기 안산 단원구 고잔동 4.16민주시민교육원 ‘기억교실’에 노란리본이 걸려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2학년 3반’이었던 박씨는 사회복지학을 전공한 뒤 지난 2월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을 취득했다. 그는 ‘운디드힐러’(상처받은 치료자)라는 단체를 만들어 자신처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힘들어하는 사람들을 만나 상담 활동을 하고 있다. “7년이 지났지만 저는 아직 아파요. 시간이 해결해준다는 말이 더 상처가 되더라고요. 다른 사람들에겐 아프면 언제든 도움받을 수 있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어요.”

‘2학년 2반’ 전혜린(24)씨는 학업에 충실하면서도 과외 5개를 병행하며 독립 비용을 마련했다. 사고 후 일상으로 돌아가려고 몸부림치던 전씨는 7년 동안 세월호를 머릿속에서 지웠다. “사고 기억을 떠올리기가 싫었어요. 단원고 생존자 학생이라는 말이 꼬리표처럼 따라붙었으니까요.” 전씨는 올해 3월 사고 이후 처음으로 용기를 내 팽목항에 찾았다. “애써 외면했던 상처가 한꺼번에 밀려왔어요. 그래도 사고 당시의 감정과 마주하게 된 계기가 된 것 같아요.”
7년 전 세월호 참사에서 살아남은 전혜린 씨가 당시 사고로 사망한  2학년 2반 담임선생님 고 전수영 선생님을 기억하는 추모집을 매만지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7년 전 세월호 참사에서 살아남은 전혜린 씨가 당시 사고로 사망한 2학년 2반 담임선생님 고 전수영 선생님을 기억하는 추모집을 매만지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사고 당시 2층 침대 방에 있던 전씨는 ‘파란 바지 의인’ 김동수씨가 자신을 구해줬다고 말했다. 김씨는 단원고 학생 등 20명 이상을 구해냈다. “아저씨가 천을 밧줄처럼 묶어 내려줬고 그걸 잡고 갑판으로 나와서 헬기를 탔어요. 배 안에서는 몰랐는데 헬기를 타고 서거차도로 가는 길에 아래를 내려다보니 배가 거의 다 가라앉았더라고요.”

같은 시각 박씨는 3층 식당 앞 소파에 앉아 있었다. “배가 급격히 기울어서 발 바로 밑이 물이었어요. 다들 눕다시피 해서 버텼죠. ‘가만히 있으라’는 안내 방송이 나왔을 때 어떤 분이 ‘지금 안 나가면 죽는다’며 배 밖으로 뛰어내렸어요.” 박씨는 갑판 벽에 머리를 부딪쳐 정신이 혼미한 상태로 4층 갑판에 있는 친구들의 손을 붙잡고 겨우 구명보트에 올랐다.
‘세월호 참사 7주기’를 하루 앞둔 15일 4.16민주시민교육원 기억교실 문틀에 ‘애들아 보고싶어♡’라고 쓴 글귀가 있다. 이 공간은 국가의 구조 실패로 304명의 목숨을 앗아간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기 위해서 그대로 복원해 만들어진 공간이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세월호 참사 7주기’를 하루 앞둔 15일 4.16민주시민교육원 기억교실 문틀에 ‘애들아 보고싶어♡’라고 쓴 글귀가 있다. 이 공간은 국가의 구조 실패로 304명의 목숨을 앗아간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기 위해서 그대로 복원해 만들어진 공간이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사고가 할퀸 마음의 상처는 예고 없이 찾아온다. 인터뷰 도중 기억교실 건물 밖에서 구급차 사이렌 소리가 나자 박씨는 귀를 막고 눈을 질끈 감았다. “비행기가 흔들려서 숨도 제대로 못 쉬고 눈물만 흘렸던 적이 있어요. 전씨도 사고 이후에 차를 탈 때면 조금만 흔들려도 소스라치게 놀라거나 공황 상태에 빠진다고 했다.

기억 교실을 둘러본 생존자들은 교무실이 어딘지 계속 물었다. 선생님이 보고 싶어서다. 박씨는 2학년 부장 고 박육근 선생님 자리 앞에 멈춰 섰다. “선생님의 딸이 저와 이름이 같아 저를 딸이라고 부르셨는데….”

두 사람은 세월호 참사를 잊지 않는 시민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했다. “저희만 그 기억이 아팠던 게 아니었어요. 함께 아파하고 기억해준 분들께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어요.”

최영권 기자 story@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