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상 간격 넓히니 교탁이 코앞 ··· 확진자 발생하면 학교 책임인가요”

“책상 간격 넓히니 교탁이 코앞 ··· 확진자 발생하면 학교 책임인가요”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0-05-19 17:28
업데이트 2020-05-19 17: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실 좁고 기숙사 부족해 방역 지침 완벽히 못 지키는 게 현실

“어른도 버거운 생활수칙 ··· 일일이 지도하다 수업은 뒷전”

교사 ‘방역책임관’ 지정한다는데 ··· “방역이 학교 책임인가”

경기도 성남의 한 고등학교에서는 교사들에게 플라스틱 재질의 입가리개를 하나씩 나눠줬다. 교육부의 학교 방역 지침에 따라 책상 간격을 최대한 넓혔더니 맨 앞 책상이 교탁의 ‘코앞’까지 와서, 수업 중 침방울이 튀는 걸 막기 위한 고육지책이다. 이 학교의 A교사는 “교육부의 방역 지침을 완벽하게 지킬 수는 없다. 안 되는 건 안 되는 대로 최대한 노력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학교가 대량 감염의 진원지가 될 수 있다는 게 가장 걱정”이라면서 “그저 확진자가 발생하지 않길 바랄 뿐”이라고 털어놓았다.
이미지 확대
고등학교 3학년의 등교 개학을 하루 앞둔 19일 서울 동작구 성남고등학교 3학년 교실에서 선생님이 사회적 거리두기 일환으로 책상 간격을 띄우고 있다. 2020.5.19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고등학교 3학년의 등교 개학을 하루 앞둔 19일 서울 동작구 성남고등학교 3학년 교실에서 선생님이 사회적 거리두기 일환으로 책상 간격을 띄우고 있다. 2020.5.19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등교 개학을 하루 앞둔 19일 일선 학교에서는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완벽한 방역은 불가능한데도 방역의 부담과 책임은 무겁기 때문이다. 생활 속 거리두기를 위한 학생들의 매뉴얼만 해도 ▲자신의 책상을 소독제 등으로 수시로 닦기 ▲마스크 상시 착용 ▲쉬는 시간 불필요한 이동 자제 등이다. 화장실이나 급식실에 들어갈 때, 선택과목 수업을 위해 이동할 때도 서로 간격을 둬야 한다. 성인에게도 버거운 생활 수칙을 학교에서 하루 7~8시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기대하기가 무리라는 게 교사들의 지적이다.

전교생이 1000명 이상인 경기도의 한 고등학교는 교문에서부터 가장 먼 현관까지 학생들의 대기선을 만들고 바닥에 1m 간격으로 테이프를 붙였다. 화장실에도 1m 간격으로 스티커를 붙였다. 이 학교의 B교사는 “학생들이 1m 간격을 지키는지, 쉬는 시간에도 떨어져 앉아 있는지 일거수 일투족을 교사들이 감시할 수 없다”면서 “지키지 않는 학생들에게 징계나 벌점을 들이댈 수도 없는 노릇”이라고 토로했다.

또 다른 고등학교는 복도를 오가는 학생들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복도 바닥 가운데에 ‘중앙선’을 그어놓았다. 이 학교는 “쉬는 시간에 옆 반에 가지 말 것”, “불필요한 이야기 하지 않기” 등의 생활수칙을 학생들에게 안내했다. 이 학교의 C교사는 “이런 수칙들을 지도해야 한다니 교사가 아니라 교도관 같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학교 시설의 한계 때문에 방역 지침을 지킬 수 없는 학교는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교육부는 학교 기숙사에 대해 ‘1인 1실’로 운영하라는 원칙을 정했지만 대부분의 기숙사는 3~4인 1실로 운영되고 있다. 기숙사를 운영하는 한 고등학교 교장은 “고3만 해도 1인 1실이 어려워 일부 학생들은 2인 1실이 불가피하다”면서 “1~2학년은 격주로 수업을 하면서 기숙사도 격주로 들어오라고 해야 하나”라고 반문했다.

일선 학교가 등교 개학에 회의감을 드러내는 것은 방역에 신경쓰느라 수업은 뒷전이 될 게 불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B교사는 “학생들에게 ‘떨어져 있으라’고 소리를 칠 일이 많을 것”이라면서 “방역과 생활지도에 힘을 쏟으면서 수업을 제대로 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고3에게 등교 수업이 필요한 이유 중 하나가 학생 참여형 수업을 하며 학생들의 활동을 관찰해 학교생활기록부의 ‘과목별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세특)’을 기재하기 위해서다. C교사는 “하루종일 마스크를 쓰며 힘들어하는 학생이 교사의 질문에 대답이나 제대로 하겠나”면서 “방역 수칙 지키면서 수업을 하면 세특에 쓸 거리도 없을 것”라고 말했다.

서울의 한 고등학교는 ‘모둠활동 자제’, ‘이론 중심 수업 권장’이라는 교육부의 교수학습 지침을 받아들고 고심에 빠졌다. 이 학교 교장은 “학생들이 서로 거리를 두고서라도 참여형 수업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교사들이 머리를 맞대고 있다”면서도 “수업 혁신이라는 교육부의 기조에 맞춰 노력해왔는데 이제 와서 강의식 수업을 하라니 답답하다”고 말했다.

학교도 학생도 “만에 하나 학교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를 우려하고 있다. 코로나19에 감염된 학생과 학교는 건강과 입시, 취업 등에서의 불이익을 고스란히 감당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학교 교사를 ‘방역책임관’으로 지정하겠다고 밝히면서 “방역 책임까지 학교가 떠안느냐”는 비판이 나온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성명서를 내고 “학교는 방역의 최전선이 될 수 없고 교사가 방역책임관이 돼서는 안 된다”면서 “탁상공론이 아닌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하고 전 학교에 방역 전담 인력을 즉시 파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