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대학에 ‘셰셰’ 대자보… 무슨 일?

수도권 대학에 ‘셰셰’ 대자보… 무슨 일?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4-04-01 11:21
업데이트 2024-04-01 11: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신전대협 제공
신전대협 제공
이미지 확대
신전대협 제공
신전대협 제공
수도권 대학가에 ‘셰셰(謝謝·고맙다는 뜻의 중국어) 대한민국’이라는 제목의 대자보가 등장해 관심을 끈다. 내용은 중국 입장에서 한국을 향해 쓴 것이지만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발언을 비꼰 것으로 보인다.

신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이하 신전대협)는 1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모교인 중앙대를 비롯해 서울대, 연세대, 서강대, 건국대 등 대학가에 ‘중화인민공화국의 화답문, 셰셰 대한민국’이라는 제목의 대자보를 붙였다고 밝혔다. 이들은 “양안 문제를 방관하여 항해의 자유를 침해받아도, 대한민국의 반도체 산업의 앞길이 막혀도, 그저 셰셰를 외치는 대한민국에 중국은 감사를 표할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대자보에는 “백두산을 ‘창바이산’으로 바꿔도 침묵으로 일관하심에 셰셰”, “간첩죄 개정을 반대해 중국 간첩 활동의 숨통을 틔워주시는 노고에 셰셰”, “중국 불법 어선이 우리 물고기를 몽땅 쓸어가는 걸 방조해주셔서 셰셰”, “양안(중국과 대만) 문제를 방관해 항행의 자유를 침해당해도, 대한민국의 반도체 산업의 앞길이 막혀도, 그저 셰셰를 외치는 대한민국의 큰 그릇에 셰셰”라고 적혔다.

셰셰 발언은 이 대표가 지난달 22일 충남 당진전통시장을 찾은 현장에서 나왔다. 정부의 대중 외교 정책을 비판한 그는 “(윤석열 정부가) 왜 중국에 집적거리나. 그냥 ‘셰셰’, 대만에도 ‘셰셰’ 이러면 된다”고 말했다. 이에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 등 현지 언론이 이 대표의 발언을 조명하기도 했다.
이미지 확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셰셰’ 발언을 조명한 환구시보 영상. 환구시보 캡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셰셰’ 발언을 조명한 환구시보 영상. 환구시보 캡처
신전대협은 “14억 중국 인민은 대한민국을 지지한다”며 “중화인민은 높은 산봉우리 같은 우리 공화국에 ‘셰셰’로 감사를 표한 대한민국을 지지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작은 나라지만 중국몽과 함께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며 “약자가 강자의 심기를 불편하게 만드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며, 소국은 감히 대국에 집적거리지 않아야 하는 것이 만고불변의 진리”라고 했다.

이어 최근 백두산이 중국 이름 ‘창바이산’(長白山·장백산)으로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에 등재된 것을 두고 “백두산이라는 잘못된 명칭을 창바이산으로 고쳐 유네스코 등재에 성공한 일 또한 기상을 드높인다”며 “이 일로 중한의 사대관계가 다시 복원되어 부모자식의 관계가 돈독해지길 기원한다”고 했다. 끝으로 “앞으로 공화국은 중국대만에 대한 정당한 권리를 행사할 것”이라며 “대한민국 또한 ‘하나의 중국’ 원칙을 존중하는 모습을 보이길 기대하겠다”고 했다.

신전대협은 반민주당 기조의 우파 대학생 단체다. 명칭은 과거 학생운동 단체였던 전대협에서 본따 만들었다.
류재민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