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정 우리은행, ‘우승 동료’ 김단비와 챔프전…BNK 박혜진 “표현하기 힘든 이상한 기분”

친정 우리은행, ‘우승 동료’ 김단비와 챔프전…BNK 박혜진 “표현하기 힘든 이상한 기분”

서진솔 기자
서진솔 기자
입력 2025-03-13 17:01
수정 2025-03-13 17: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아산 우리은행 김단비가 지난해 11월 2일 아산 이순신체육관에서 열린 2024~25 여자프로농구 정규시즌 부산 BNK와의 홈 경가에서 친정팀을 찾은 박혜진의 눈물을 닦아주고 있다. WKBL 제공
아산 우리은행 김단비가 지난해 11월 2일 아산 이순신체육관에서 열린 2024~25 여자프로농구 정규시즌 부산 BNK와의 홈 경가에서 친정팀을 찾은 박혜진의 눈물을 닦아주고 있다. WKBL 제공


이미지 확대
아산 우리은행 김단비가 지난해 11월 2일 아산 이순신체육관에서 열린 2024~25 여자프로농구 정규시즌 부산 BNK와의 홈 경가에서 친정팀을 찾은 박혜진을 반겨주고 있다. WKBL 제공
아산 우리은행 김단비가 지난해 11월 2일 아산 이순신체육관에서 열린 2024~25 여자프로농구 정규시즌 부산 BNK와의 홈 경가에서 친정팀을 찾은 박혜진을 반겨주고 있다. WKBL 제공


여자프로농구 아산 우리은행에서 16년간 뛰었던 ‘전설’ 박혜진(35)이 부산 BNK로 이적한 첫 시즌 챔피언결정전(5전3승제)에서 친정팀과 운명의 맞대결을 펼치게 됐다. 그를 막아서는 건 지난해 우승을 합작했던 ‘최강’ 김단비(35·우리은행)다.

박혜진은 13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정규시즌에 우리은행과 붙으면 표현하기 힘든 이상한 기분이 들어서 힘들었다. 6라운드까지만 참자는 생각으로 버텼는데 운명의 장난으로 또 만났다”면서 “단비 언니와 위성우 감독님이 워낙 경험이 많다. 객관적인 전력과 상관없이 경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승리 가능성에 관한 질문에는 “우리은행만큼은 자극하고 싶지 않다”며 웃었다. 이어 “단비 언니가 플레이오프(PO)에서 다크서클이 잔뜩 내려온 얼굴로 힘들어하는 모습이 저를 보는 것 같았다. 반가웠다”고 털어놨다. 2009년 프로에 입성한 박혜진은 우리은행에서 8개의 우승 반지를 수확했고, 2017년엔 3시즌 연속 챔피언결정전 최우수선수(MVP)에 오르면서 리그 역사에 이름을 새겼다. 이후 부상에 이은 ‘번 아웃’에 빠졌고, 지난해 결국 고향 부산을 연고로 둔 BNK로 향했다.

이미지 확대
아산 우리은행 김단비와 부산 BNK 박혜진이 지난해 11월 2일 아산 이순신체육관에서 열린 2024~25 여자프로농구 정규시즌 경가에서 맞대결하고 있다. WKBL 제공
아산 우리은행 김단비와 부산 BNK 박혜진이 지난해 11월 2일 아산 이순신체육관에서 열린 2024~25 여자프로농구 정규시즌 경가에서 맞대결하고 있다. WKBL 제공


압도적인 기량으로 역대 2번째 정규리그 8관왕에 오른 김단비는 청주 KB와의 PO에서 결정적인 실책을 범하는 등 온탕과 냉탕을 오갔다. 그는 PO를 마치고 “정규리그 우승이 오히려 독이었다. 부담이 너무 컸다. 4위 KB에 지면 자존심이 상할 것 같아 어깨에 힘이 들어갔다”며 “동료들이 ‘언니 덕분에 여기까지 올 수 있다’고 말해줘서 이겨낼 수 있었다. 전력이 강한 BNK와의 챔프전은 도전자 입장으로 편하게 치르겠다”고 강조했다.

정규리그 1위 우리은행과 2위 BNK는 16일 아산 이순신체육관에서 열리는 1차전을 시작으로 2024~25 챔피언결정전에 돌입한다. 우리은행이 승리하면 3시즌 연속 포함 리그 최다 우승 기록을 13회로 늘린다. BNK에겐 창단 첫 우승이 걸려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