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파산 위험 낮고 ② 속도감 느리고 ③ 각국 공조 마련 ④ 정치 이슈 논리
그러나 전문가들은 예고된 이슈인 만큼 리먼 사태보다 위험성이나 충격이 덜할 것으로 관측한다. 정부도 “2008년처럼 확산할 가능성은 낮다”며 불안론을 잠재우고 있다. 박석현 유진투자증권 연구위원은 28일 “브렉시트가 리먼 사태나 유럽 재정위기처럼 글로벌 경기를 급격히 침체시키거나 가계, 기업 혹은 정부의 ‘디폴트(채무불이행) 리스크’를 확대시키는 성격을 갖고 있지는 않다”고 진단했다.
한국의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만 봐도 ‘체감도’가 다르다. CDS는 채권을 발행한 기업이나 국가 등이 부도 났을 때 손실을 보상해주는 금융파생상품을 뜻한다. 흔히 국가 부도 위험을 나타낸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해당국의 위험을 크게 본다. 글로벌 금융위기 촉발 때인 2008년 우리나라 CDS 프리미엄은 그해 9월 15일 143bp(1bp=0.01% 포인트)에서 10월 10일 344bp로 무려 201bp 치솟았다. 글로벌 경제의 패닉(공포)을 고스란히 반영한 것이다. 이에 비해 브렉시트 투표 결과가 나온 지난 24일에는 61bp로 전날보다 6bp 오르는 데 그쳤다. 28일에도 63bp에 머물렀다.
‘속도감’도 다르다. 리먼 사태는 ‘대형 금융사 파산→기업 부도→금융 시스템 훼손→글로벌 자금 경색’ 등으로 도미노식 세계 경기 침체를 야기했지만 브렉시트는 탈퇴에만 2~7년 걸린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리먼 사태는) 실물경제에 악영향을 줬지만 브렉시트는 아니다”라며 “불안감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정도”라고 분석했다. 이어 “CDS 프리미엄이 낮다는 것은 파산 위험이 크지 않다고 시장이 판단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상대적으로 ‘대비’도 돼 있는 편이다. 금융기관에 대한 신뢰가 둑 터지듯 무너졌던 2008년의 쓰나미식 재앙과 달리 이번엔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정상이 결속을 강화하며 대비책 마련에 들어갔다. 영국중앙은행은 최근 2500억 파운드의 긴급 유동성을 준비했다. 각국 정부의 정책 공조에 따라 충격이 완화될 가능성이 크다. 브렉시트가 ‘정치 이슈’라는 점도 차이다. 임 팀장은 “앞으로 정치가 우선이냐, 경제가 우선이냐의 싸움이 될 것”이라면서 “스페인이 일단락된 것을 봤을 때는 경제논리가 앞서지 않겠느냐”라고 내다봤다.
반론도 있다. 리먼 사태보다 불확실성이 더 크다는 것이다. 김두언 하나금융투자 선임연구원은 “2008년엔 미국이 무너지면 우리도 무너진다는 위기의식에 세계 각국이 공조에 적극적이었지만 이번에는 유럽에 국한된 문제”라면서 “그간 금리 인하, 양적완화 등 할 수 있는 조치를 다했기 때문에 혁신적인 공조 정책이 더 나오기 힘들다”고 내다봤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6-06-29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