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금리방향 틀고 1년간 1회 인상…다음은 7월? 10월?

한은 금리방향 틀고 1년간 1회 인상…다음은 7월? 10월?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6-03 10:15
수정 2018-06-03 10: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달 미 금리 올리면 역전 폭 확대…가계부채 증가속도 아직 빨라

한국은행이 돈줄을 죄는 방향으로 통화정책 전환을 예고한 지 거의 1년이 지났다.

한은은 이후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을 단행하며 저금리 시대가 끝나감을 보여줬다.

금융시장에서는 올해 하반기 1회 추가 인상을 예상하지만 시기를 두고는 견해가 제각각이다.

한미 정책금리 역전으로 압박이 커졌지만, 경기와 물가가 확실히 받쳐주지 않아서다. 한은의 고민이 깊다.
이미지 확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연합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연합뉴스
◇ 금리 인상 깜빡이 켜고 사상 최저 벗어나

이주열 총재는 작년 6월 12일 한은 창립기념행사에서 통화정책 완화 정도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며 3년 만에 긴축을 시사했다.

이어 금통위는 작년 11월 말 회의에서 6년 5개월 만에 금리 인상 결정을 내리며 사상 최저 금리 시기를 마감했다.

‘출구전략’ 실행을 가능케 한 동력은 지난해 3년 만에 회복한 3%대 성장세다.

사상 최대 규모로 불어난 가계부채를 두고 금융불안 우려가 부각된 것도 주 요인이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상에 본격적으로 나서며 한은 금리 인상에 당위성을 높였다.

◇ 추가 인상은 언제…한은 “신중 판단” 되풀이

한은은 추가 인상은 신중하게 판단한다는 입장을 줄곧 유지하고 있다.

금융시장에서는 그동안 7월을 유력하게 점쳤다. 상반기는 한은 총재 교체, 지방선거 등 걸림돌이 더해져 어려울 것으로 봤다.

이런 가운데 올해 들어 경기와 물가 모두 부진한 모습을 보여 전망이 흔들리고 있다.

물가 상승률은 1%대 중반이고 고용시장은 급냉각됐다.

해외에서는 미 금리인상 가속 전망으로 금융시장이 거듭 요동쳤다. 아르헨티나와 터키 등 부실한 신흥국에서 ‘위기설’이 연이어 흘러나왔다.

또, 미국이 보호무역주의 공세를 펼치며 중국과 충돌하고 있다.

◇ 하반기 1회 인상 전망 대세…7월에 올릴까, 뒤로 밀릴까

5월 금통위가 소수의견 없이 지나가면서 기대감이 낮아졌지만 7월은 여전히 유효한 카드로 거론된다.

그 배경에는 12∼13일(현지시간)로 예고된 미 연준 공개시장위원회(FOMC) 금리 인상이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이달에 기준금리가 25bp 인상될 가능성을 91.3% 반영했다.

금리역전 폭이 커진 것을 확인하면 국내 경제주체들이 체감하는 압박이 훨씬 커진다는 분석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3월에 양국 정책금리가 역전된 뒤에도 외국 자금이 대거 유출되는 사태는 없었다. 그렇지만 마냥 내버려둘 수는 없다는 점에는 이견이 거의 없다.

한국 경제 ‘뇌관’ 가계부채도 증가세가 둔화했지만, 여전히 소득보다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김학균 신영증권 연구원은 “경기 사이클 상 낙관할 상황이 아님을 고려하면 지금이라도 금리를 올려두는 것이 덜 부담스럽다고 볼 것”이라며 7월 인상을 예상했다.

이 총재도 지난달 “올릴 수 있을 때는 올려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신세돈 숙명여대 교수는 “생활물가가 많이 올라가는 점을 감안하면 선제적으로 금리를 높여야 한다”며 “미국을 따라 우리도 1∼2회는 올려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지금 분위기로는 7월 인상은 정부 입김 때문에 어려울 것 같다”고 덧붙였다.

반면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나 물가 측면에서 금리 인상 시기가 쭉 밀릴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조 위원은 미 금리 인상 영향과 관련, “이 정도 역전 폭을 갖고 자본이탈을 우려하며 금리를 올리는 건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해외 투자은행(IB) 중에 BoA와 노무라, HSBC는 한국은행이 7월에 올릴 것으로 예상한다. JP모건은 8월, 골드만삭스는 10월로 인상 전망 시기를 각각 늦췄다.

모건스탠리는 7, 8월에 올리겠지만, 이때가 지나면 아예 동결할 것으로 예상했다. 소시에테제네랄(SG)도 올해 0회 인상을 전망했다.

다음 금통위까지 한은에서 시장에 신호를 줄 기회가 여러 차례 있다.

당장 4일에 이 총재가 BOK 콘퍼런스에서 개회사를 하고 8일엔 윤면식 부총재가 한 학회에 참석한다. 12일은 한은 창립기념식이다. 이어 나오는 금융안정보고서와 지역경제 보고서 등에도 힌트가 담길 수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